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남북한 청소년 교류협력을 위한 중장기 전략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 3228명을 설문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청소년들은 남북통일에 대해 67.8%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국력이 더 강해질 수 있어서’(28.8%)라는 답변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안보 불안감 해소’(23.2%), ‘동일 민족’(19.6%) 등의 순이었다.
통일 시기로는 ‘20년 이후’라는 전망이 28.0%로 1위를 차지했다. 10∼20년 이내는 23.4%, 5∼10년 이내는 18.5%로 집계됐다. 통일이 아예 안 될 것이라는 응답도 13.1%나 됐다. 특히 통일할 필요가 없다고 답변한 학생도 19.7%로 집계됐다.
북한에 대한 인식을 묻자 절반에 가까운 47.1%가 ‘서로 힘을 합쳐 화합해야 할 대상’이라고 했다. ‘조심하고 경계해야 할 대상’이라는 응답은 21.9%, ‘우리나라 안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10.4%가 꼽았다. 남북 청소년 간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4.2%가 ‘그렇다’고 답했다. 각 국 청소년에 대한 호감도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보면 한국 청소년(76.7점)을 제외하면 국내거주 다문화 청소년(67.1점)이 가장 높았다. 이어 미국(66.7점), 국내 거주 북한 출신(62.5점), 북한(57.0점), 중국(54.5점), 일본(40.9점) 순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