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채인묵 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1)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3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심정지 이송환자는 한해 평균 약 4000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 가운데 119 전화통화 안내를 통해 심정지 환자 응급 처치 사례는 2019년도 371건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서울시는 소방차에 AED(자동제세동기), 응급치료장비를 탑재한 펌뷸런스(Pumbulance)를 118대 운영하고 있다. 펌뷸런스는 소방펌프차(Pump)와 구급차(Ambulance)의 합성어로 구급차 공백 시 응급환자 대처를 위해 출동한다.
심정지 발생 시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면 생존율이 높아지는데 서울시에는 현재 9057대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돼 있다. 자동 심장 충격기 1대당 인구수는 1074명으로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8년 전국 기준 1대당 인구수 1206명에 비해 서울시 설치 비율이 높다.
또한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시용은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도 간단한 교육으로 위급상황 시 시행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익혀둘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 “학교에서 교육 강화와 일반인들에게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예산과 홍보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심폐소생술 교육을 포함한 2020년 예산은 2017년 대비 26% 증가한 9억 5000만 원으로 책정되어 해마다 증가 하고 있다. 교육 대상은 일반 시민과 서울시 직원으로 구분해 매년 진행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