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11월 현재 여객수익 전년대비 1조원 이상 감소
자회사 노조 파업에 이어 철도노조 태업에 열차 운행 비상
|
코로나19로 올해 영업수익이 전년동기대비 1조원 이상 감소한 코레일이 자회사 노조 파업에 이어 철도노조가 지난 27일부터 태업에 돌입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서울신문 DB |
앞서 지난 11일부터 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가 정규직 및 임금인상, 정년연장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가면서 열차 이용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철도노조는 “철도는 361개 공공기관 중 산업재해 발생율 1위로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야간노동 축소를 위한 교대제를 2020년 1월부터 전면 개편한다’는 2018년 노사합의는 현장의 산업재해와 열차사고에 대한 최소한의 대책”이라며 “국토교통부는 노동시간 단축과 교대제 개편에 필요한 안전인력 증원을 확정하지 않고 코레일 경영진도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레일은 노조의 주장을 반박하지 않았지만 상황 인식에 대해 답답함을 토로했다. 경영이 어렵고 전 국민이 고통을 감수하는 상황에서 임금 인상과 증원 등이 거론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하고 수능시험을 앞두고 태업은 국민의 불안과 방역에 불신만 가중시킬 수 있다”이라고 우려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