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 관광 70% 감소… 명절 주문도 끊겨
적정 재고치 6만축인데 9만축 쌓여 울상
수협 “생산 원가 높아 가격 인하 어려워”
30일 울릉수협에 따르면 올해 우리 수협 소속 어민들이 총생산한 마른오징어는 13만 5000축(1축 20마리, 1.5㎏ 기준)이며 이 중 34.8%인 4만 7000축이 판매됐다.
나머지 8만 8000축은 현재 울릉수협 냉동창고에 3만 8000축, 개인 냉동창고에 5만축이 쌓여 있다. 70억원어치가 창고에 있는 것이다. 이는 예년 적정 재고치 6만~7만축에 비하면 3만축 가까이 많다. 축당 소매가격은 지난해 이맘때 12만원보다 1만원 정도 내렸지만 소비 부진은 여전하다. 이 때문에 지역 오징어 중소상인(중매인)과 어업인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울릉도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70% 이상 크게 감소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설을 앞둔 예년 이맘때쯤 밀려들던 주문도 올해는 내수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뚝 끓겼다.
이에 따라 울릉수협과 어업인들은 마른오징어 재고분을 정부 비축 물량으로 수매해 줄 것을 바란다. 이성용 울릉수협 상무는 “마른오징어 재고 사태에도 소매가격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은 축당 생산 원가가 9만 5000원 정도로 높기 때문”이라며 “소매상들이 가격을 더 내리면 손해 볼 수밖에 없다며 난감해한다”고 밝혔다. 중매인조합 관계자는 “내수부진, 원가인상, 연체금리 문제 등 삼중고에 시달려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며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2020-12-3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