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날 안광률 부위원장은 발언에서 “오늘 발언은 교육행정위원으로서가 아닌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들의 목소리를 대신 전하려 한다”며 “각급 학교의 학생회 임원으로 구성된 청소년교육의회 회의에 참석하였는데 학생들은 자신들의 문제를 직접 제안하고, 토론하며 해법을 모색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교육행정위원인 제게 학생들이 던져준 숙제가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학교 성교육을 학교가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구였다”고 말했다.
이어 안 부위원장은 “현재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 성교육은 아예 학교가 교육 자체를 안 하고 있거나 또는 교육을 하여도 생물학적 지식만을 지루하게 설명하는 주입식 교육과 일방적인 영상시청이 전부인 실정”이라며 “정작 학생들이 알고 싶어 하는 음란물의 위험성, 성적 호르몬의 차이, 피임방법 등은 학교가 제대로 설명해 주지 않고 있다. 학생들은 설명을 안 해주는 것이 학생들을 더 무방비하게 만들어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느낀다”고 지적했다.
안 부위원장은 18세 미만 청소년도 편의점에서 콘돔을 사는데 법적으로 문제가 없음을 자신도 몰랐다는 사연을 전하면서, 기성세대가 더 편견을 가지고 바라보니 성을 어른들의 전유물쯤으로 여기고 금기시하고 배타적인 자세가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 부위원장은 “학생들이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아야 이성간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할 수 있고, 성역할의 방향과 인식을 실천할 수 있는 주체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지금의 기성세대가 학창시절 제대로 성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성에 대한 삐뚤어진 관념에 빠져 지금의 향락문화와 일그러진 성문화 풍토가 만들어진 것 아닌가”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성교육을 둘러싸고는 여전히 금기시해야 한다는 보수적 시각과 더 자세히 가르쳐야 한다는 진보적 시각이 있지만 둘 모두 어른의 시각에서 재단하려 하면 올바른 성교육이 될 수 없다”고 진단하며 “성교육을 수혜자인 학생의 입장과 시선에서 요구를 반영한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