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직격탄 맞아
여행업과 스포츠·레저업도 크게 줄어
전체 종사자 증가폭 20만명대로 꺾여
임시일용직 많아 일자리 질도 떨어져
|
고용노동부가 31일 발표한 지난 7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숙박·음식업 종사자는 109만 8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6만 4000명(5.5%) 감소했다. 국내에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해 2월부터 18개월째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지만, 지난 3월부터는 감소폭이 조금씩 줄고 있었는데 다시 악재를 만난 것이다.
여행업을 포함한 사업시설관리업(-1만 3000명)과 예술·스포츠·레저업(-8000명) 종사자도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 7월 전체 사업장 종사자 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27만 4000명 늘면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 갔다. 그러나 최근 3개월 연속 30만명대의 오름세를 보였던 것에 비하면 다소 꺾인 모습이다. 일자리의 질도 낮아졌다. 상용직 노동자는 7만명(0.4%) 증가에 그친 반면, 임시일용직은 19만 4000명(11.1%)이나 늘었다. 현재의 종사자 증가세를 임시일용직이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전체 산업 중 종사자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종사자가 1만 9000명 증가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정향숙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지난 7월부터 4차 유행이 시작돼 종사자 증가폭이 상당히 축소되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그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유지됐다”며 “수출 호조가 지속되고 생산량이 증가한 상황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그동안 코로나19가 확산하면 1~2개월 후 종사자 감소폭이 컸던 경험이 있어 8월 이후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이어 “올해는 코로나19 백신 접종률도 높고 수출 호조도 있어 지난해보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의 영향이 비교적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상황에 적응해 가는 측면도 있지 않나 조심스럽게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9-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