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리밀, 가격 쭉쭉 오르자 쑥쑥 자랐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고가 행진에 재배면적·농가 급증
전국 6190㏊… 최근 65.7% 늘어

정부 10년내 밀 자급률 10% 목표
“벼처럼 산물수매해야 달성 가능”

우리밀 재배 면적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19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정부가 2018년 밀산업육성정책을 시행한 이후 우리밀 가격이 높게 형성되자 밀 재배에 뛰어드는 농민들이 부쩍 늘었다.

지난해 가을 전국 밀 재배면적은 6190㏊로 2020년 5224㏊ 보다 966㏊(18.5%) 늘었다. 2019년 3736㏊에 비해서는 2454㏊(65.7%)나 증가했다. 생산량은 2019년 1만 5024t, 2020년 1만 6985t, 2021년 2만 9835t이다.

시·도별로는 곡창지대인 전남과 전북의 재배면적이 가장 넓다. 전남은 2019년 1814㏊, 2020년 2337㏊, 2021년 2345㏊ 등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전북도 2019년 863㏊이던 밀 재배면적이 2020년에는 1355㏊, 지난해는 1854㏊로 늘었다. 벼를 수확한 다음 보리를 주로 재배했던 김제, 부안 등 호남평야 농민들이 밀 농사로 눈을 돌린 것이다. 광주광역시도 지난해 887㏊로 2020년 453㏊보다 95.8%나 증가했다.

경북은 2019년 80㏊에서 2020년 66㏊로 줄었다가 지난해 226㏊로 폭증했다. 충남은 2019년 33㏊, 2020년 46㏊, 지난해 65㏊ 등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우리밀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정부가 1%대인 밀 자급률을 2030년까지 10%로 끌어올리기로 하고 수매를 확대했기 때문이다. 수매가도 40㎏에 3만 5100~3만 9000원으로 주정용 쌀보리 3만 2000원보다 훨씬 높다.

정부는 농수산유통공사를 통해 밀을 수매하고 있으나 시중 가격이 수매가 보다 높고 우리밀 유통시장이 형성돼 있어 수매 목표를 채우기 힘든 실정이다. 우리밀은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활협동조합 등 특수시장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유기농식품업체들이 국내산 밀을 원료로 만든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도 밀 재배 면적 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농민들은 밀 재배를 더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벼처럼 산물수매를 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수확 후 건조·저장시설이 열악해 품질이 떨어지고 생산비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밀은 수확시기(6월 상중순)가 보리보다 한달 가량 늦어 다음 작물인 벼의 이앙도 지연되는데다 수확·건조 한 후 포대에 담아 수매를 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다. 이를 해결하려면 수확과 동시에 건조·저장시설이나 RPC(Rice Processing Complex, 미곡종합처리장)를 이용한 산물수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물수매를 하면 건조·저장 노동력 소요시간을 31시간/㏊에서 16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2-01-20 1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