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서울 단체장에게 듣는다] 노현송 강서구청장
노현송 서울 강서구청장은 강서구에서 민선 2기 구청장, 17대 국회의원, 민선 5·6·7기 구청장을 지냈다. 1998년부터 구민의 부름을 다섯 번이나 받은 그에겐 구청장 임기를 마치는 올해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노 구청장은 지난달 2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생의 황금기를 강서와 함께 있었고, 국정 참여 경험도 해 봤다. 너무나 큰 축복이었다”며 “오랜 세월 한결같이 저를 선택해 주신 구민들께 너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민선 2기 때와 지금 강서구를 비교해 보면 그야말로 ‘상전벽해’다.
“처음 구청장이 됐을 때가 24년 전이다. 그때 강서구는 서울 외곽이고 낙후된 곳이라는 인식이 컸다. 하지만 24년 동안 말 그대로 지도가 바뀌었다. 객관적인 지표로 봐도 한국공공자치연구원 조사 결과 강서가 서울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나타났다. 많은 변화를 이룬 것이다. 큰 보람이다. 구민들이 성원해 주셨고, 한마음 한뜻으로 함께해 준 직원들 덕분에 이뤄 낼 수 있었다.”
●서울식물원 30개월 새 1000만명 방문
-임기 동안 가장 기억에 남고 잘했다고 생각하는 사업은 역시 마곡지구 개발일까.
“마곡은 내가 시작한 거나 마찬가지다. 처음에 조순 당시 서울시장은 후세를 위해 마곡을 놔두기로 결정했다. 조 전 시장 생각도 일리는 있지만 개발을 할 때 어떤 방식으로 할지 미리 계획하고 연구해서 방향을 세워 두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999년쯤 고건 서울시장에게 건의했고, 당시 시정개발연구원(현 서울연구원)이 수행한 용역에서 밑그림이 거의 다 나왔다.
-구청장과 국회의원을 모두 해 봤는데 어느 쪽이 더 보람 있나.
“둘 다 중요하지만 일의 성과로 보면 구청장이 훨씬 의미 있다. 국회의원은 혼자 직접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단체장은 지역 내에서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다. 법에 어긋나지 않고 주민이 원하는 일이면 대부분 추진할 수 있다. 예산이 문제이긴 한데, 계획을 세워 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능력이다. 책임이 무거운 만큼 성과에 대해 보람도 느낀다.”
●후임이 공항 고도제한 완화 등 실현을
-긴 시간 수많은 성과를 내셨지만 그럼에도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민선 7기엔 코로나19가 일상이 되면서 현장을 자주 찾지 못하고 더 많은 구민과 소통하는 데에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돌이켜 보면 소통은 어떤 결론이나 진정성을 찾아가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그래서 최근 상황이 더 안타깝다.
김포공항 고도제한 완화를 위해 달려 여러 성과를 냈지만 항공학적 검토제도 시행이 임기 내 마무리되지 못한 부분이 아쉽다. 취임하면서부터 비행안전이라는 목적을 지키면서 열악한 지역 여건도 개선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2015년 항공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2018년 항공학적 검토 전문기관이 지정 고시되는 등 제도 기반이 마련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장애물 제한 표면 기준 설정이 코로나19로 지연되며 아직까지 제도가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까지 추진할 역점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마곡 개발 사업이 올 연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첨단기술과 산업이 융합되는 지식산업 혁신기지로, 연구개발(R&D) 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신경제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지역 문화 균형발전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강서문예회관 건립도 연말 준공이 목표다. 구민의 숙원이었던 서부광역철도(대장·홍대선) 사업은 지난해 마침내 한국개발연구원(KDI) 민자적격성 심사 통과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남은 절차가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화곡동 일대 지구단위계획도 성공적으로 추진돼야 지역 간 조화로운 성장을 이룰 수 있다.”
●임기 끝까지 공약 실천에 최선 다할 것
-후임 구청장에게 바라는 점이 있는지.
“처음 구청장이 되면 다양한 현안과 복잡한 문제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지역 특성을 꾸준히 살펴 지역 사회에 잠재된 다양한 경제 자원, 기술 등을 발굴하고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 나갔으면 한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역내 숙원 사업들이 차질 없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노력해 주길 바란다. 자신의 성과만을 위해 10년 동안 추진한 사업이 물거품이 되게 해선 안 된다. 공항 고도제한 완화는 꼭 마무리를 지어 줬으면 좋겠다.”
-임기 끝난 뒤 계획도 묻지 않을 수 없다. 구민들께 하고 싶은 말도 해 주시라.
“임기 끝난 뒤 뭘 해야겠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아직 임기가 5개월이나 남았다. 직원들이 끝까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도 내 역할이다. 최선을 다해 마지막까지 구민과 약속한 일을 힘껏 추진하겠다. 구민 여러분과 처음 약속을 끝까지 지켜 나가는 ‘유시유종’(有始有終)의 한 해를 만들어 가겠다. 새해에도 뜨거운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 구민 모두의 건승과 행복을 기원한다.”
김민석 기자
2022-02-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