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 발표
일자리·주거·교육 등 50개 사업
향후 5년간 6조 2800억원 투입
희망두배 청년통장 대상 5배로
“선거 직전 선심성 정책” 비판도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청년행복 프로젝트)을 23일 발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불공정과 불평등을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2030 청년세대가 희망을 품고 다시 봄을 노래할 수 있도록 ‘청년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에 사는 청년 인구(19~39세)는 약 300만명으로, 서울 인구의 30% 정도다.
이번 대책은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 등 5개 영역 50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향후 5년간 투입될 예산은 6조 2810억원으로, ‘2020 서울형 청년보장’ 예산 7136억원의 8.8배 수준이다. 대중교통비 지원, 이사비 지원, 전월세 보증보험료 지원 등 11개 사업을 추가해 청년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게 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주요 사업은 ▲대중교통비 지원 ▲이사비 지원 ▲월세 지원 등이다. 이용 금액의 20%를 교통 마일리지로 돌려주는 대중교통비 지원은 올해 만 19~24세 15만명을 대상으로 지원을 시작해 2025년 30만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사비 지원은 소득수준에 따라 연간 8000명에게 최대 40만원을 지급한다. 청년 1인 가구에 최대 10개월간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청년 월세 지원’은 올해부터 5만명으로 확대한다.
청년수당은 ‘졸업 후 2년’이라는 지급 요건을 없애 대학을 갓 졸업한 사회초년생까지 지급 대상 범위를 넓히고, 단기 근로자 등 ‘일하는’ 청년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한다. 저축액을 2배로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7000명인 지원 대상을 3만 5000명까지 확대한다.
김동현 기자
2022-03-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