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고, 생활비는 주거와 식료품, 보건·의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 경기도 1인 가구 통계’(2021년 기준)를 발표했다. 도내 1인 가구 통계를 인구·가구, 주거, 소득 등 8개 분야별로 정리한 자료는 이번이 처음이다.
도에 따르면 도내 1인 가구는 약 140만 가구로, 전국 1인 가구의 21.2%를 차지했다. 도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16년 23.8%에서 2020년 27.6%로 증가했다.
1인 가구 연령대는 30대 19.4%, 50대 17.0%, 20대 16.9%, 40대 16.3% 등의 순이었다.
생활비는 주거비 30.5%, 식료품비 25.2%, 보건·의료비 20.7% 등의 순으로 지출했다.
주거 면적은 40~60㎡ 이하 35.6%, 20~40㎡ 26.3%, 60~85㎡ 22.8% 등의 순으로, 1인 가구의 67.3%가 60㎡ 이하 주거 면적으로 거주했다. 거주지 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은 직장 및 취업 42.2%, 경제적 여건 13.3%, 가족·친인척 및 지인 거주12.8% 등의 순이다.
1인 가구의 66.1%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 83.1%, 예금·적금·저축성보험 37.5%, 사적연금 13.7% 등 순이었다.
지주연 여성가족국장은 “도내 1인 가구의 분포와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처음으로 통계를 정리했다”며 “앞으로 도의 1인 가구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