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지구 용역 등 실천방안 착착
탄소중립시대와 상승 효과 기대
제주도는 지난 14일 도청에서 15분 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 제2차 회의를 열고 15분 도시 제주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및 시범지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과업지시서 추진 내용·실천방안 등에 대해 협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용역에서는 향후 10년간(2024~2033년) 15분 도시 제주 기본구상과 3년간(2024~2026년)의 15분 도시 제주 시범지구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내용으로 발주될 예정이다. 사업비는 5억원이다.
특히 도는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SKT컨소시엄과 업무협약을 맺고 2025년 국내 첫 상용화를 추진하는 도심항공교통(UAM)과 지난달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에 들어간 수소트램이 도입된다면 15분 도시 제주를 한 걸음 더 앞당길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15분 도시 제주의 개념이 모호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오 지사는 “15분 내에 도보나 자전거, 대중교통으로 생활에 필요한 모든 인프라에 접근할 수 있는 도시를 말하는데 제주는 여기에 12월부터 소방헬기, 응급헬기를 통해 15분이면 권역응급센터로 날아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제주는 섬이란 제한된 공간이 명확하고 읍면동 체계가 비교적 잘 정비돼 있어 콤팩트 도시 서울보다 15분 도시 개념이 잘 맞을 수 있다”면서 “무엇보다 ‘모자란 것을 채워 주면’ 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문화체육시설과 의료시설이 부족한 한경면이나 대정읍에 이를 채워 주면 15분 도시가 완성된다는 얘기다. 오 지사는 “집과 직장은 가까워야 한다”면서 “워케이션을 한경, 성산, 남원, 서귀포에 만들어 주면 해결될 수 있다”고 했다.
또 오 지사는 생명, 안전, 서비스 등을 15분 거리에서 누릴 수 있다면 탄소중립과도 연계된다고 했다. 탄소 없는 섬을 지향하는 제주로선 이보다 좋은 정책이 있을 수 없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