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공심야어린이병원 벤치마킹 열풍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문화행사 30여개 풍성… 진주는 10월 내내 축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전주 마이스 복합단지 개발 가속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대전 ‘용산2블록 호반써밋’ 등 3곳 우수 공사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임규호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 기후동행카드, 너무 섣부르지 않나 걱정”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임규호 서울시의원

임규호 의원은 오세훈 시장이 기습 발표한 기후동행카드 제도 도입에 대해 “투명한 정책 결정 과정에 시의회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는 없었다”라고 표명했다.

서울시가 지난 11일 발표한 기후동행카드 제도는 연간 천 1만 3000대의 자동차 감소 효과를 기대하면서, 월 50만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이 제도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서울시의회와 시민들의 의견은 없었고, 인접 지자체 간 실무적 소통도 발표된 지 불과 1주일 전 1차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실질적으로 서울시가 독단적으로 추진하는 바람에 국토부·경기도·인천시 등 행정기관의 즉각적 반발이 이어졌고, 예산과 예상 효과에 대한 추계에 의문이 든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에 임 의원은 “정책 결정 과정은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 예산과 효과에 대한 근거를 산출하기 위한 협의 과정이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지자체 및 관계기관과의 숙성된 협의와 토론회·공청회 등을 통한 공론화만이 시민들에게 신뢰감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중첩·중복되는 정책이 아닌지”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이미 기후동행카드의 제도목적과 기대효과가 똑같이 일치하는 ‘K패스’가 국토부에서 내년부터 실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오 시장이 치적사업을 만들기 위해 무리하게 독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게 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임 의원은 “우리의 목표는 교통복지의 품질을 높여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 이를 위해 투명하고 협력적인 과정을 통해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라고 전하며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되더라도, 원칙과 절차가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사회적·경제적 파장을 일으킬만한 충분한 여지가 있는 만큼, 깊게 고민해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온라인뉴스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홍보·행정 지원 강화… 전통시장 경쟁력 높이는 관악

문화·관광지 연계 유입 인구 늘려 시설 현대화, 시장 이미지도 개선 골목형 상점가 지정 컨설팅·교육 상인회 지원 매니저 4명 늘려 9명

동네 빈터에 주민들 휴식 공간…‘공원 천국’으로 변

새솔공원 준공 오승록 구청장 초화원 조성하고 운동시설 마련 불암산 목공예 체험장도 만들어 ‘상계·수락산’과 새달에 시범 운영 吳구청장 “가족에 힐링·문화공간”

마포구, 추석 연휴 공영주차장 무료 개방

9월 28일~10월 3일 이용료 면제 마포농수산물시장 주자창도 무료

용산구 치매안심센터 모여 ‘기억 찾기’

박희영 구청장 ‘인지 강좌’ 동행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