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들 상담료로 월평균 307만원 수령, 최고 830만원 받기도
31억원 투입하는 사업을 3개 문항만으로 성과 측정하는 서울시 비판
‘서울영테크’ 사업은 지난 2021년부터 시작된 오세훈 시장의 공약사업으로써 청년들에게 재테크, 보험, 자산관리 등 재무 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이며 올해 3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서 의원은 과도한 영테크 상담료를 지적했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영테크는 시간당 대면 12만 5000원, 비대면 5만원으로 상담료가 책정됐지만, 타 부서에서 운영하는 전월세종합지원센터 공인중개사들의 상담료는 시간당 1만 8000원밖에 되지 않았다.
상담사들은 영테크 상담으로만 월평균 307만원의 상담료를 받았으며, 어떤 한 상담사는 한 달에 830만원에 달하는 큰 금액을 상담료로 받기도 했다. 상담 과정에 벌어지는 상담사의 영업활동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만족도 조사 결과 중 ‘대출 알선 및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는 내용에 서 의원은 “서울시가 약 20억원에 달하는 상담료도 주고 재무설계사들의 영업 경로도 확보해주고 있다”라며 지적했다.
편법 예산 쪼개기에 대한 의혹도 제기했다. 현재는 전문기관에 사업운영을 맡겼음에도 서울시가 직접 상담료를 지급하고 있다. 서 의원은 “운영 용역(4억 9000만원)과 상담료(19억 5000만원)를 분리한 건 용역 금액을 적게 보이기 위한 편법 예산 쪼개기”로 보인다며 서울시의 행태를 비판했다.
서 의원은 “청년들의 삶이 얼마나 나아졌는지 상담유형, 기초자산의 정도, 가족 형태 등 유형과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정책 효과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미래청년기획단에 사업 전반의 개선을 요구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