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안심병원(2차의료기관)’ 9월 운영 시작했지만 서울시 홈페이지 포함 6개 사이트 중 4곳 아직도 ‘7월부터 운영 예정’이라 게재
서울시의회 김경 의원(더불어민주당·강서1)은 제321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소관 시민건강국 소관 예산안 심사에서 서울형 소아의료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서울형 소아의료체계 구축사업’은 야간에도 소아 진료가 가능한 ‘우리아이 안심의료기관’ 및 야간 상담센터를 지정·운영해 어린이가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지난 3월 ‘서울형 야간 소아의료체계’ 구축 발표 당시엔 소아환자와 부모를 위한 긴급 대책인 만큼 부모들이 자주 이용하는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제대로 된 홍보가 7개월째 없어 시민편의를 위한 정책임에도 정작 시민들이 알지 못하는 형편이다.
지난 5월 서울시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보면 ‘너무 많이 알려질 경우 업무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병원 측 의견에 따라 (5월 기준)한 달 가까이 홍보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시민 편의를 위한 정책인데 홍보하지 않아 시민들이 활용하지 않으면 그것은 누구를 위한 것이냐”라며 “야간 소아의료체계가 전체적으로 완성된 후에 홍보하려 했다는 서울시의 해명은 받아들일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의료기관 리스트가 업데이트된 홈페이지조차 행정사무감사를 준비하며 자료를 요청하자 그제야 올렸다”라며 “잘못된 사업에 투자하는 것만이 예산낭비가 아니라, 사업을 실시하고도 시민이 이를 몰라 활용을 못 한다면 그것 또한 예산낭비”라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