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올해 110곳 조성
자녀안심그린숲 80곳 추가 선정
내년 지원 예산 줄어들거나 동결
“도시숲 더 조성하게 예산 늘려야”
28일 산림청에 따르면, 산림청은 도시숲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을 생활권에 만들고 있다. 2019년 시작한 ‘기후대응 도시숲’이 대표적이다. 도심 생활권과 도시 주변 지역 유휴지를 활용한 이 숲은 미세먼지 차단은 물론 주민 휴식처 역할을 톡톡히 해 지자체의 관심이 크다.
국비가 지원되는 도시숲은 광역지자체가 지역 내 기초지자체 신청을 모아 산림청에 제출하면, 산림청이 심의를 거쳐 선정하는 구조다. 선정된 기초지자체는 숲 조성 때 국비 50%·도비 15%를 지원 받는다.
경남만 보면 올해 기후대응 도시숲 11곳(12.7㏊), 도시바람길숲 1곳(계속 사업), 자녀안심그린숲 10곳이 조성됐다.
전국적으로도 기후대응 도시숲은 이미 조성된 363곳에 더해 올해 110곳(175㏊)이 선정, 조성이 진행 중이다. 2021년 50곳을 시작으로 확대 중인 자녀안심그린숲은 올해 80곳을 추가 선정했고, 17곳에 조성한 도시바람길숲은 2025년까지 17곳에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남해군 관계자는 “도시숲은 주민 건강 증진은 물론 기후위기 대응, 경관 향상 등 효과가 크다”며 “도시숲 조성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비 확보를 바탕으로 지역에 도시숲을 조성하려는 각 지자체의 의지는 충만하나, 예산이 걸림돌이다. 도시숲 관련 국비는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지만, 내년 예산은 기후대응 도시숲 870억원(전년 870억원), 자녀안심그린숲 74억원(전년 80억원)으로 전년과 동일하거나 줄었다. 계속 사업인 도시바람길숲만 해당 지자체 예산 증가와 매칭해 471억원(전년 315억원)으로 증액 편성됐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대상지 선정부터 목적에 맞는 용도 설정까지 도시숲을 늘리고자 노력 중이다. 조성을 마친 숲은 주민 만족도도 높아 그해 주요 성과가 되기도 한다”며 “기후위기 시대, 도시숲이 더 확대될 수 있도록 예산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