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에도 안심하고 명동에서 놀자…서울 중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새 단장’ 노원문화예술회관, 잭슨 폴록·조수미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은평 불광동에 최고 35층 공동주택 2451세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동 상일동 능골근린공원, 편안한 무장애 데크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폭염·폭우가 앗아간 ‘수확의 기쁨’… 충남 과수·벼·인삼 피해 확산[이슈 & 이슈]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이상기후 속수무책 ‘속 타는 농심’

천안·아산 배, 최대 50% 이상 피해
수확 앞둔 황금들판 벼멸구 ‘창궐’
금산 인삼, 이상고온에 생장 멈춰
농가 지원하고 근본 대책 수립해야
기후변화로 이상고온 등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사하라 사막 지대에 이례적인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다. 반세기 만의 일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상기후로 농촌이 몸살을 앓고 있다. 재해 수준의 병충해와 이상기온,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논밭이 쑥대밭이 되고 있다. 충남에서는 지난달 중순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대표 작물인 배와 인삼, 벼에 이어 수산물까지 피해를 보고 있다.


충남 천안의 한 영농조합에서 선별 작업 후 버려진 배들이 상자에 담겨 있다.
천안 이종익 기자·


“배를 볼 때마다 속이 썩어 들어갑니다. 누구 하나 도와줄 사람이 없습니다.”

17일 충남 천안시 성환읍에 있는 한 영농조합. 올해 수확한 과수 배 탈봉(봉지 제거)과 무게 선별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하지만 수확의 기쁨과 달리 농민들의 얼굴에는 깊은 수심이 가득했다.

선별 작업을 하려고 수백개 상자에 담겨 나온 상당수 배 봉지가 까맣게 물들어 있었다. 멀쩡해 보이는 배조차 봉지를 뜯자 불에 그을린 듯 검게 변해 있었다. 병충해 방지를 위해 열매마다 봉지를 씌웠지만 올해 역대급 폭염과 집중호우로 미처 피해를 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선별장 한쪽에 쌓아 놓은 배 상자 주변으로는 과일 특유의 시큼하고 썩어 가는 냄새가 진동했다. 수많은 날파리로 인해 작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날 오전에만 선별 작업을 거쳐 버려진 배만 20여개 들이 상자로 100개가 넘었다.

충남의 대표적 배 주산지인 천안과 아산에서 일소(햇볕 뎀)·열과(갈라짐)와 낙과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천안시에 따르면 634곳의 농가(면적 919.5㏊)가 한 해 3만 5238t의 배를 수확한다. 하지만 올해 430곳의 농가(441.4㏊)가 일소와 낙과 피해를 신고했다. 농가들이 수확한 뒤 탈봉하는 점을 감안하면 생산량의 50% 넘게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됐다.

일소 피해는 과실 표면이 강한 햇볕에 타들어 가는 것으로 고온과 강한 직사광선에 의해 발생한다. 피해를 본 과실은 불에 덴 것처럼 검게 그을린 모양이 되다 점차 병반이 움푹 파여 들어가 괴사한다. 열과 현상은 건조한 날씨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열매 껍질이 얇아진 상태에서 갑자기 수분이 유입돼 껍질이 갈라져 과실이 썩는 현상이다.

인접한 아산에서도 560여곳 농가(620㏊) 중 190여곳의 농가(202㏊)가 피해 신고를 했다. 올해에는 본격적으로 과실이 여무는 8월 중하순 기온이 평년 28.9도보다 높은 31.2도에 달했고 지난달까지 무더위가 이어졌다.

많은 농가가 농작물재해보험 선택 사항인 일소·열과 피해에 가입하지 않아 보험 혜택도 어려운 실정이다. 1년에 약 180t 이상의 배를 수확한다는 조일암씨는 “평균 20년 수령의 나무에서 200여개의 배를 수확한다”며 “일소 피해로 나무에 달린 50~60여개의 배가 버려졌고, 탈봉 작업 중 50여개가 추가로 버려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볏대에 붙어 있는 벼멸구가 줄기 하단의 즙을 빨아먹으며 벼에 피해를 입히고 있는 모습.
충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수확을 앞둔 충남 들판은 벼멸구가 휩쓸고 있다. 벼멸구는 벼 줄기에 구멍을 뚫고 즙을 빨아 벼를 고사시킨다. 도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태안 300㏊, 서천 318㏊, 홍성 133㏊ 등 15개 시군에서 1044㏊의 벼멸구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벼 재배 면적은 12만 9000㏊의 1.3%에 해당한다. 한국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벼멸구 창궐은 폭염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벼멸구는 통상 7월쯤 바람을 타고 중국 등에서 국내로 유입된다. 날아온 벼멸구는 9월까지 고온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부화 기간 단축 등으로 밀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산 인삼 재배 농가도 비상이다. 이상고온으로 잎이 타들어 가고 생장이 멈추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금산군에 따르면 지역 인삼 농가의 폭염 피해 규모는 지난 16일 기준 전체 1400여곳의 농가(1210㏊) 중 340여곳 농가(129㏊)다. 인삼은 33도 이상 기온이 3일 정도만 이어져도 피해가 나타난다.

천안의 한 농민은 “기후 재난에 아무런 안전장치 없이 버티고 있는 게 농업과 농민”이라며 “이상기후 피해 농가에 지원금을 지급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2024-10-18 3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