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평택호 유역 수질 안정성과 대규모 K-반도체 방류수 수질오염에 선제 대응을 목적으로 환경부 주관 국가수질자동측정소 3개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무인으로 운영되는 자동측정소는 중금속, 생물감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최대 28개 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수질 수생태계 보전 및 지역 주민 불안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평택호는 평택시와 인근 지역에 매년 약 5억 톤의 농·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급속한 개발로 인해 오염물질 유입이 늘어나며 녹조 등 다양한 수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용인지역에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 입지가 확정됨에 따라 2040년 이후에는 하루 총 160만 톤 이상의 반도체 방류수가 평택호로 유입돼 오염 부하량은 더 가중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평택시는 수질오염사고 신속 대응 및 불안 해소를 위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상생협력 관계기관 협약에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2개소 설치를 제안해 채택됐고, 이후 여러 차례 중앙부처와 업무 회의를 통해 넓은 유역임을 고려해 총 3개소의 측정소를 설치 운영하기 위해 환경부와 세부 추진 방안을 협의 중이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이번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설치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 상황을 신속히 파악해 혹시 모를 대규모 오염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반도체 방류수 유입에 따른 대책을 꼼꼼히 수립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택호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