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학공업은 전체 산업 중 최저
서울기업 48% “올해 더 어려워질 것”
서울의 기업체들이 체감하는 업황 실적과 전망이 모두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기업 가운데 중화학공업은 전국과 비교해도 업황 실적이 크게 떨어졌다.
17일 서울연구원의 서울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 기업의 업황 BSI(실적)는 79.5로 전분기(80.8)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전망치도 86.8로 나타나 전분기(89.3) 보다 2.5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100을 기준값으로 그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많고, 미만이면 적은 것을 뜻한다. 서울 BSI는 서울 기업 1074개를 대상으로 지난해 3분기부터 분기별로 실시하며, 결과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전국 3524개 기업을 대상으로 매월 조사하는 전국 단위 BSI 조사와 비교하면 서울 제조업(중화학공업·경공업) 기업들의 업황이 더욱 어렵다는 점이 드러난다.
서울 제조업의 1분기 업황 BSI(실적치)는 52.6으로 전분기 대비 38.6포인트나 떨어지며 크게 악화됐다. 특히 중화학공업 실적치는 37.7로 전분기와 비교해 무려 48.8포인트나 하락했고, 이는 전체 산업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비제조업의 업황 BSI(실적)는 81.2로 전분기 대비 1.0포인트 소폭 올랐다. 이 가운데 건설업은 전분기 95.2에서 81.6으로 13.6포인트 하락했고, 교육(94.9→55.9), 예술·스포츠·여가(88.9→56.9) 등의 낙폭이 컸다.
더불어 경영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내수 부진(20.2%), 비용 상승(18.8%) 등의 응답이 높았다. 또 지난해 대비 올해 업황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은 47.7%로,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7.0%)의 7배에 달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서울과 같은 수도권은 대기업을 지원하는 대신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양자컴퓨터, 로봇 등 중소기업 연구개발(R&D) 등의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한편 서울 BSI는 서울시 정책 수립을 위해 실시하며, 올해 1분기 조사는 2월 28일~3월 18일 진행됐다.
안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