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22년 창업중심대학 6개 대학을 지정하였으며, ’23년 창업중심대학 3개 대학을 추가로 모집한 결과,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성균관대(경기), 한남대(대전), 경상국립대(경남) 3개 대학이 창업중심대학으로 선정하였다.
<창업중심대학 지정 현황>
구분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강원권 | 대경권 | 동남권 | 계 |
‘22년 | 한양대 (서울) |
호서대 (충남) |
전북대 (전북) |
강원대 (강원) |
대구대 (경북) |
부산대 (부산) |
6 |
‘23년 | 성균관대 (경기) |
한남대 (대전) |
- | - | - | 경상국립대 (경남) |
3 |
이날 협약식은 창업중심대학이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창업의 중심지(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 간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참석한 기관들은 대학발 창업 활성화 및 지역 창업 중심지(허브) 역할 수행을 위해 창업중심대학 사업 운영에 상호 협력할 뿐만 아니라, 창업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협업프로그램 운영과 운영 요령(노하우) 확산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각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공간 43,264㎡, 장비 2,197개 등의 창업 기반(인프라)와 함께 조성한 투자재원 144억원, 창업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세계적(글로벌) 연결망(네트워크)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여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뜻을 같이하였다.
조주현 차관은 협약식에서 “한국의 창업기업(스타트업)이 미래 신기술 분야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인재양성과 기술연구의 산실이자 요람인 대학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향후, 창업중심대학이 고급 인력·기술을 기반으로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세계적(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 육성의 산실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협약식 종료 후, 중소벤처기업부 청년보좌역 및 2030 자문단 등 청년·대학생이 참여하는 청년창업 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질의 간담회를 개최하였으며, 청년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창업중심대학 등 청년창업 정책추진에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