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역은 ‘잠실역’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퇴근 후에도 편하게 책 보세요”…서울 공공도서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성동 ‘고혈압·당뇨병 교육센터’ 건강 맛집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양천 ‘안전체험교육관’ 응급처치 맛집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소방청, 오늘부터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유사사고 막는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최근5년간공사장 화재2,732작업 중 불티 주의






소방청,오늘부터 내달17일까지







전국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최근5년간(`20~`24)전국 공사장 화재2,732용접·절단·연마 부주의 원인 최다




-부산 기장군 화재 유사사고 방지2.18.~3.17.(4주간)대형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공사장,완전한 소방시설 갖추지 않아 위험비상시 대피로 미리 숙지해야"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지난14일 발생한 부산 기장군 리조트 신축공사장 화재와 같은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 오늘부터'전국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사 현장에는 단열재 등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이 많아 화재가날 경우 급속히 확산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특히 날이 풀리며 겨우내 미뤄뒀던 작업이 다시 시작되는 봄철에는 보다 꼼꼼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최근5년간(20202024)공사장 화재는 총2732으로, 2020599, 2021559, 2022657, 2023516, 2024401건으로 연평균546건이 발생했다.


<최근5년간(2020~2024)공사장 화재 현황>


연도


건수


인명피해


재산피해(천원)


사망()


부상()



2,732


46


202


68,682,990


2020


599


39


50


18,860,277


2021


559


3


48


9,232,429


2022


657


3


36


22,939,463


2023


516


1


30


5,634,238


2024


401


0


38


12,016,583


같은 기간 공사장 화재로 인한인명피해는 사망46,부상202이었으며,재산피해는6868,299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는부주의가2,049(75%)으로 가장 많았고,전기적요인351(12.8%),미상179(6.6%),기계적요인69(2.5%),화학적요인34(1.2%)이 뒤를 이었다.


<최근5년간(2020~2024)발화요인별 공사장 화재 현황>


연도



부주의


전기적


미상


기계적


화학적


기타


방화


가스누출


자연적



2,732


2,049


351


179


69


34


20


15


8


7


2020


599


470


70


40


6


4


5


3


0


1


2021


559


415


77


36


17


7


2


4


1


0


2022


657


504


81


38


18


6


4


3


3


0


2023


516


381


59


44


16


7


3


3


0


3


2024


401


279


64


21


12


10


6


2


4


3





부주의 화재2,049건의 세부 원인별로는용접·절단·연마가1,300(63.4%)로 가장 많았고,담배꽁초259(12.6%),기기(전기,기계)사용144(7.0%),불씨·불꽃·화원방치120(5.9%),가연물근접배치58(2.8%)순이었다.


<최근5년간(2020~2024)발화요인별 공사장 화재 현황>


연도



용접,절단,연마


담배


꽁초


기기


(전기,기계)사용


불씨,불꽃 화원


방치


가연물


근접


배치


쓰레기


소각


불장난


유류취급


음식물


조리


기타



2,049


1,300


259


144


120


58


29


5


5


3


126


신축


1,312


823


159


93


82


43


16



1


1


94


개축


153


107


12


12


10


3


2




1


6


증축


115


88


5


7


7


4






4


기타공사중


469


282


83


32


21


8


11


5


4


1


22


이러한 공사장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용접·절단·연마 작업 시불티가 단열재에 들어가지 않도록비산 방지 덮개와 용접 방화포를 설치하고화재 예방과 초기 조치를 위해소화기 등 필수 소방기구 비치작업장 주변에 탈 수 있는 물질은 미리 제거해야한다.


,공사 현장은 제대로 된 소방시설 등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현장 근로자는 평소 비상 대피로를 미리 숙지하고,작업장 내 흡연할 경우특정 지역을 지정해 흡연하고,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화기 취급을 금지해야 한다.


이에 소방청은오늘(18)부터 내달17일까지4주간 전국 대형공사장 대상 긴급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다.


영업장 개장 등을 맞추기 위하여공사기간 단축이 예상되는 대상,우레탄 폼(단열재),합판(가벽)다량의 가연물이 쌓여있는 공사장,화재발생 위험이 높은용접절단연마 공정이 많은 공사장,그밖에 화재발생 위험이 크다고 분석판단되는 현장을 위주로 실시한다.


중점 조사 내용은피난방화시설 폐쇄훼손 및 계단통로 등 피난대피로확보 여부,소방시설공사 착공신고 및 감리자 지정(감리원 현장배치)확인,임시소방시설 화재안전기준*준수 및 소방안전관리자 화기취급 감독 등 업무실태,우레탄 폼 등 가연물 취급장소 용접 등 화기취급행위 제한(안전수칙 교육),건설현장 내 위험물 임시 저장취급 관련 시도 조례 준수 여부을 위주로 조사한다.또한,국토교통부,고용노동부 등 관계기관과도 긴밀히 협조하여합동점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건설현장의 임시소방시설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에 따라 공사 현장에 설치해야하는 임시 소방시설로는소화기,간이소화 장치,비상경보 장치,간이 피난 유도선,가스누설경보기,방화포,비상조명등이 해당하며,미설치 시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영팔 소방청 차장은"최근 공사장 화재로 인해 다수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공사장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화재안전조사 및 관계자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자율 안전관리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소방청


책임자


과 장


김학근


(044-205-7470)



화재대응조사과


담당자


소방령


이기열


(044-205-7474)



소방청


책임자


과 장


김근식


(044-205-7452)



예방총괄과


담당자


소방경


강선욱


(044-205-7453)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