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 꽃 감염 위험도 확인
- 일반 농가는 과수원 내 꽃 절반 정도 피었을 때 5~7일 간격 두고 방제
- 방제 시 약제 안전 사용 지침 준수…약제 혼용 금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올해 전국 주요 배, 사과 주산지의 꽃 만개 시기가 예측됨에 따라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개화기 제때 방제를 당부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자료(3월 26일 기상 기준)를 보면, 배꽃은 '신고' 품종을 기준으로 △울산광역시(4.5.∼4.7.) △전남 나주(4.10.∼4.12.) △경기 이천, 충남 천안(4.14.∼4.19.) 순으로 만개할 것으로 예측됐다.
사과 꽃은 '후지' 품종을 기준으로 △경남 거창, 대구 군위(4.17.~4.19.) △충북 충주(4.19.~4.21.) △전북 장수, 경북 영주(4.20.~4.22.) △경북 청송(4.24.~4.26.) 순으로 필 것으로 전망했다.
배, 사과 재배 농가는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https://fireblight.org)'에 접속하거나 농촌진흥기관이 발송하는 알림 문자를 보고 과수원 소재 지역의 꽃 감염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
과수화상병 예측 서비스는 접속일 당일부터 3~4일 후까지의 꽃 감염 위험도 정보를 제공한다. '위험' 및 '매우 위험' 경고가 예측되면 경고 1일 전 1차 약제를 살포하고, 2일 이내 다른 계통의 2차 약제를 준다.
위험 경고 1일 전에는 '옥솔린산'이나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성분이 포함된 약제 중 1종을 선택해 살포를 권장하고 있으며, 위험 경고 후 2일 이내에는 '스트렙토마이신' 성분이 포함된 약제를 준다.
온라인 정보를 찾아볼 수 없거나 알림 문자 수신에 동의하지 않은 농가는 과수원의 꽃이 절반 정도 피었을 때 1차 방제하고, 5~7일 간격을 두고 2차 방제를 한다.
개화기에는 과수화상병 감염 위험도가 꾸준히 높아지므로, 2차 방제 후부터는 3일 간격으로 다른 계통의 2~3가지 약제를 번갈아 살포한다.
방제 약제와 친환경 제제는 반드시 정해진 양만큼 사용하고, 다른 약제와 섞어 쓰지 않는 등 사용 지침을 지켜야 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채의석 과장은 "시군농업기술센터가 배부한 과수화상병 개화기 방제 약제를 적극 활용하고, 방제를 증빙하는 약제 봉지를 보관(1년)하고, 방제 확인서와 영농 일지를 작성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작업자는 약제에 노출되지 않도록 전신 방제복, 보안경(고글), 산업용 마스크, 장갑 등을 착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