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지역 수출입물류 등 긴급 상황 점검 |
-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등으로 불확실성 확대… 수출・해상물류 모니터링 강화 중동지역 수출 피해기업 유동성 지원, 물류비 절감 지원 등 차질없이 추진 제7차 수출비상대책반 회의 열려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6.13.(금) 15시,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등으로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수출 비상대책반 회의를 개최하여 수출입 물류 영향 등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였다.
* 참석(영상회의 방식) : 산업부 무역정책관(주재), 무역협회・코트라・무보, 코트라 현지 무역관(이스라엘・이란・이라크・두바이) 영상연결 등
점검회의 결과, 이스라엘은 이란의 미사일 및 드론 공격 등에 대비하여 항구 운영 중단 및 항공기 공역을 폐쇄하는 등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업부는 금번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수출입동향 지속 모니터링과 함께 수출 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와 코트라・무역협회 등 유관 기관간 긴밀한 대응 체계하에 ➀중동지역 수출 피해기업 유동성 지원,➁중소기업 전용 선복 제공*, ➂공동물류센터 확대 등 기존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는 한편, 물류경색 발생에
대비해 임시선박 투입 등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검토해 나가기로 하였다.
* 무역협회 등의 중소기업 대상 선복 수요조사 결과('25.5월)를 바탕으로 국적선사 등과의 협의를 통해 선복 부족 항로에 중소기업 전용 선적공간 제공 추진
서가람 무역정책관은"대중동 수출 비중('24년 기준 수출의 2.9%)은 크지 않지만, 유가와 물류비 상승 등을 통해서 우리 수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유관부처․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면밀히 모니터링 해가면서, 수출과 해상물류 등의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수출기업 애로 해소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