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공모(7.16.~8.8.) -
- 데이터 수요-공급 매칭 및 안전한 활용 통한 의료 AI 혁신 가속화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염민섭)은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 7월 16일(수)부터 8월 8일(금)까지「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2025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으로 24억 원을 추가 편성하여 의료 AI(인공지능)를 개발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기반 제품·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분석 비용을 최대 4억 원까지 지원한다.
*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 의료기관에 축적된 임상데이터를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인프라와 활용 절차 구축을 지원받는 43개 의료기관(7개 컨소시엄)
<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개요>
◇ (지원대상) 의료데이터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서비스(제약·의료기기·디지털헬스케어 등)를 개발·운영하는 중소기업·스타트업 8개소 내외
◇ (지원규모) 대형과제 최대 4억 원 지원(4개소 선정), 중형과제 최대 2억 원 지원(4개소 선정)
◇ (지원방식) 수요-공급 매칭 후 지원 대상 기업과 의료기관 간 협약 체결, 협약내용에 따라 데이터 가공·분석에 필요한 비용을 바우처로 지급
◇ (공모기간) '25.7.16.~'25.8.8.
AI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면 신속·정확한 진단 보조, 필수의료 의료진 부담 경감 등이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다양한 의료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사례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활용 가능한 의료데이터 예시 >
종류 | 데이터 유형 |
---|---|
영상(이미지) | CT, MRI, X-ray, 초음파 등 |
텍스트 | 서술된 형태의 의무기록(EMR), 진단서, 수술기록지 등 |
정형 데이터 | 진단코드, 검사결과 수치, 투약 이력 등 |
오믹스 데이터 |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정보 등 |
생체신호 | ECG, EEG, 혈압, 산소포화도 등 |
환자 특성 | 나이, 성별, 병력, 생활습관 등 |
수요기관 모집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누리집(www.k-his.or.k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개요
2.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모집공고
3.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 참여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