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농업기술원 난지과수시험장 박재옥(43)씨 등 연구사 5명이 1999년부터 2004년까지 6년 동안 바닷가와 섬, 산, 들녘을 누비며 자생하는 식물의 사계절 사진을 찍고 이모저모를 조사했다.
봄꽃 132종, 여름꽃 133종, 가을꽃 59종, 겨울에 피는 꽃과 관엽·양치식물 34종 등 모두 358종이 수록됐다. 기존 식물도감과는 달리 식물마다 새순이 돋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모습을 따로따로 사진에 담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사진만 1498장이다.
또 이름별로 재미나는 유래도 담았다.‘복수초(福壽草)’는 행복과 장수를 가져다 주는 풀이며,‘새끼노루귀’는 새싹이 올라올 때 보송송한 가는 털이 마치 노루귀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조경용으로 알맞은 꽃은 해국·참골무꽃·황근·등덩굴·멀꿀·석이·일엽초 등을 꼽았다.
조사원들은 남도에 흩어진 섬과 해안주변뿐만 아니라 해남 두륜산, 광양 백운산, 영암 월출산, 구례 지리산, 순천 조계산 등까지 발품을 팔아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았다.‘복수초’는 중부권에서는 4∼5월에 꽃이 피지만 남도에서는 겨울철인 1∼3월에 꽃이 피었다.‘깽깽이풀’은 광주 무등산 이남에서는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흥·강진군 등 최남단에서도 확인됐다.‘고려 엉겅퀴’는 덕유산 이남에서는 볼 수 없는 종으로 돼 있었으나 최남단인 완도·진도군의 섬에서 무더기로 자라고 있었다.
박재옥 연구사는 “‘남도의 자생식물’이란 책을 통해서 자생식물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고 식물이 갖는 유전자원을 활용하고 상품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나주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