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가동, 산사태 점검… 장마·태풍 피해 예방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찰특공대 띄우고, 정신응급센터 열고… 이상동기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이천서 전국 첫 벼베기 …임금님표 이천쌀 120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도시철도 2호선 28년 만에 첫삽… ‘수소연료 트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즐기라고 불러놓고 웬 관람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공주, 금강부교 통행료에 시민 ‘부글’

“자치단체가 돈벌이에 눈이 멀었나. 즐기라고 축제에 불러 놓고 웬 관람료냐.”


충남 공주시가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열리는 백제문화제 때 금강 부교(浮橋)를 운영하면서 관람(통행)료를 받기로 해 비난을 사고 있다.

14일 공주시에 따르면 백제문화제 때 산성동 공산성에서 금강을 가로질러 맞은편 신관동 둔치공원까지 부교를 설치하고 이용자를 상대로 어른 1000원, 어린이 500원의 통행료를 징수한다.

부교는 길이 270m, 폭 3m 규모로 플라스틱 통 4000개를 연결해 설치한다. 부교 양쪽 철제 난간에 대나무를 꽂아 터널을 만들고 부교 위와 양쪽 수면에 물고기 등 여러 모양의 유등 수백개를 띄워 아름다운 밤 풍경을 연출한다는 것이다. 백제문화제 부교는 5~6년 전부터 설치돼 한시적으로 운영됐으나 통행료를 받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이에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신관동 주민 이모(70)씨는 “내내 받지 않던 통행료를 왜 뜬금없이 징수하려고 하느냐. 시가 장사하려고 하느냐.”면서 “돈도 얼마 벌지 못할 거면서 괜히 공주 이미지만 나빠진다. 인근 금강교 위에서도 구경할 수 있는데 나 같아도 부교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공주시는 축제 기간 부교 통행료로 1억원을 벌어들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술 더 떠 2만 2000원 하는 ‘백제옷’(한복형) 상의를 구입해 입는 관광객에게는 통행료를 면제해 주기로 하면서 상업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고광철 공주시의장은 “축제가 시민에게 즐거움이 아닌 부담이 돼서야 되겠느냐. 별로 볼거리도 없이 건너는 것밖에 없는 다리를 다섯번 건너면 다섯번 다 관람료를 받는다는데 이게 말이 되느냐.”며 관람료 징수 철회를 요구했다.

김세종 시 축제계장은 “정부에서 연간 축제 예산으로 48억원 넘게 쓰는 시·군에 대해 교부세 감액 등의 불이익을 준다고 하는데 공주에서 한 해 열리는 축제만 20개다. 시로서는 축제를 수익형으로 열 수밖에 없지 않으냐.”고 해명하고 “10억원을 들여도 부족한 백제문화제는 앞으로 민간단체로 넘겨 열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주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2-09-15 13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