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제주 소나무 재선충 확산 전전긍긍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만여 그루 감염으로 고사

제주지역에 소나무 재선충이 급속도로 확산돼 제주도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제주도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재선충병으로 고사한 소나무를 제거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

7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제주지역 소나무 8만여그루가 고사했고, 이 가운데 2만여그루가 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달 들어 감염지역도 급속도로 확산돼 서귀포시 동 지역과 남원읍 지역을 제외하고 제주의 모든 지역 소나무가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소나무 재선충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방제작업에 나서고 있으나 피해 지역이 워낙 넓은데다 인력과 장비 등이 턱없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는 산림청으로부터 긴급방제비와 인력을 지원받고, 자체 예비비를 투입해 하루 200여명을 동원해 500그루의 고사목을 제거하고 있다. 도는 연말까지 고사목을 전량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공무원을 비롯해 군인, 경찰 등의 인력까지 지원받았다. 인부들은 “워낙 재선충 피해 소나무가 많은데다 방제작업할 때 멀쩡했던 소나무가 10여일 후에 가보면 말라죽는 등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의 안일한 판단이 재선충을 확산시켰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부터 소나무 고사가 잇따랐으나 제주도는 이상 기후변화 탓이라며 재선충 확산 가능성 등은 등한시해 왔다. 하지만 올여름 극심한 가뭄과 고온현상 등이 계속되면서 재선충이 창궐, 피해 소나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가는 곳마다 누렇게 고사한 소나무가 수두룩해 아름다운 제주 경관을 망치고 있는데 행정 당국은 그동안 무얼 하고 있었는지 한심스럽다”며 개탄하고 있다.

한라산연구소 신창훈 박사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태풍과 한파, 가뭄 등 기상적인 영향이 소나무 고사목과 재선충 확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2006년 제주에서 처음으로 재선충이 나타난 이후 2012년까지 거의 사라졌으나 이렇게 확산될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재선충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성충이 되기 전인 내년 4월까지 고사목을 전량 제거한다는 계획이나 피해지역이 방대한데다 급속도로 확산 추세가 있어 완전 방제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3-10-08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