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아픔 다뤘지만 상영관 확보 난항
박 시장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만약 (귀향의) 상영관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서울시가 강당, 시민청 등 산하의 모든 시설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에선 영화 배급사를 통해 협의가 되면 시 소유의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저작권이 걸려 있어 상영 가능 여부를 제작·배급사와 먼저 타진해봐야 한다”면서 “영화 관람료 부분도 그쪽에서 정하는 바에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5일 귀향의 시사회에 참석했던 박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도 소감을 남겼다. 그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견뎌낸 고통의 무게와 그것을 보고만 있어야 했던 부끄러움이 두 볼을 타고 흘렀다”면서 “남은 45명의 할머니들이 살아 계시는 동안 명예를 회복하는 날을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말처럼 귀향이 만들어지고 그것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겐 미래가 있다”며 이 영화를 볼 것을 권유하기도 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