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친환경 농법 19억원 지원 불구
오리 농법 배제·도입 농가 거의 없어 예전엔 보통 5월 말~6월 초 모내기를 한 논에 어린 오리를 풀어놓으면 쉴 새 없이 논바닥을 오가며 잡초를 뜯거나 벌레와 해충들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어 따로 농약이나 비료를 치지 않아도 그만이었다. 오리 방사 때는 도시민들을 초청해 친근감을 불러일으키고 도·농을 잇는 매개체 역할을 했을 뿐더러 오리들이 벼 포기 사이를 헤집고 다니는 등 또 다른 볼거리도 제공했다.
노무현(1946~2009) 전 대통령도 2008년 퇴임 후 고향인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오리 농법을 도입해 벼 재배를 할 정도였다. 전중우(73·경북 울진군 울진읍) 전 도청단지벼작목반장은 9일 “오리 농법이 한창이던 10년 전후론 온 들판에 오리가 넘쳐났고, 친환경 오리쌀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였다. 돌아보면 농사 짓는 즐거움을 가장 크게 느꼈던 시절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농촌 들녘에서 친환경 농법의 대명사로 여겨지던 오리 농법이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꼬리를 감추고 있다.
9일 경북도에 따르면 올해 친환경 농법 지원 사업으로 16개 시·군 1925㏊에 걸쳐 19억 2000여만원을 지원한다. 분야는 유기질비료 공급, 녹비작물 재배, 우렁이와 쌀겨 농법 등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오리 농법에 대한 지원은 단 한 푼도 없다. 이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알려졌다.
이어 의성군 53㏊, 포항시 43㏊, 고령군 40㏊ 등이었다. 강원도의 경우에도 10개 시·군 497농가가 362㏊에서 오리 11만 마리를 들여와 오리 농법을 추진했고, 충남도 역시 806농가 752㏊에서 13만 마리의 오리로 벼농사를 지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해당 농가에 새끼 오리 구입비와 오리집 등을 지원했다.
하지만 2008년 고병원성 AI가 창궐한 이후 오리 농법은 내리막길을 걸었다. 가둬 키우는 닭과 달리 논을 누비는 오리 탓에 AI가 확산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지자체가 떠안을 부담 때문이다. 고병원성 AI는 2003년 첫 사례 이후 지난해까지 10차례 발생했다.
올해 벼농사에 오리 농법을 도입한 농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환경 브랜드 쌀로 불티나게 팔리던 오리쌀 구입도 ‘하늘의 별따기’로 불린다. 경북도 관계자는 “최근 들어 거의 매년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오리 등을 대량 살처분하는 가운데 AI 매개체로 알려진 오리 농법을 도입하기 곤란하다. 우렁이와 쌀겨 농법 등을 확대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8-09-10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