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원 11명, 문화재청에 공문 보내 “이충무공전서와 글씨체·양식 달라”
왼쪽은 국보 76호 서간첩으로 이 충무공이 1593년 사헌부 현덕승에게 보낸 편지, 오른쪽은 사학자 이은상이 쓴 이충무공전서에 들어 있는 이 충무공 글. 같은 내용의 편지지만 행간이 다르게 적혀 있다. |
하지만 최근 이순신 장군의 친필로 공개되고 있는 ‘약무호남 시무국가’에 대한 사실 여부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전남도의원 11명으로 구성된 ‘전남도의회 임진왜란 연구회’는 지난 3월 현충사에서 이충무공전서와 아산 현충사에 보관 중인 국보 76호 서간첩 간에 서로 큰 차이점이 있다며 이의를 제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들은 충무공 친필 확인을 위한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연구회에 따르면 이충무공전서에는 서한 6편과 잡문 3편, 1593년 7월 16일자 편지 추신이 있다고 돼 있지만 서간첩에는 서한 8편은 있지만 잡문 3편은 없고, 편지 추신도 없다. 이충무공전서에는 약무호남 시무국가의 ‘국’자가 한자 서식에 맞춰 상단에 있지만, 서간첩에는 ‘국’자가 하단에 있고 글씨체도 옥편에 등재된 초서체가 아니다. 이들은 “서간첩에 수록된 충무공이 조카에게 보낸 편지는 종이 질감이 갈대 잎처럼 거칠고 뿌리와 줄기·잎이 섞여 거칠했다”며 “약무호남 시무국가라는 문구가 쓰인 1593년 편지는 두껍지만 매끄럽고 질감이 월등하게 동일해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종이인데도 서로 감촉이 아주 다르다”고 지적했다.
임종기 도의원은 “충무공이 현덕승에게 보낸 약무호남 시무국가 문구가 쓰인 편지가 400여년 전 임진왜란 당시의 종이인지 의문스럽다”며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돼 지난 2일 문화재청장에게 확인을 요구한 공문을 보냈다”고 말했다.
무안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9-05-07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