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스마트 홈·꿈꾸는 공부방… 따뜻한 세상 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3기 신도시 GH 담당 최초 하남교산지구 부지 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광화문서 ‘영호남 화합대축전’… “소통하며 새로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기관광공사 골목 활동가, 김포 ‘백 년의 거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박람회→구도심 재생… 수변공간 개발 ‘답’을 보다[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4>라인강 접한 뒤셀도르프


순천시장
노관규(오른쪽) 전남 순천시장이 뒤셀도르프 관계자에게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핵심 콘텐츠인 그린아일랜드를 설명하고 있다.
순천시 제공

노관규 전남 순천시장과 박람회 조직위원들은 지난 22일 선진도시 견학 네 번째 장소로 독일 북부의 뒤셀도르프를 방문하고, 라인강 인근 수변공간(라인우퍼프로메나데)을 둘러봤다.

뒤셀도르프는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잿더미가 됐지만 석탄·철강 무역항으로 재건돼 전후 라인강의 기적을 이끈 도시다. 1970년대 주력 산업이 쇠퇴하면서 소득 저하와 인구 감소 등의 악순환으로 쇠락해 가는 도시였다. 이에 시는 항만 재생 마스터플랜을 세워 도시를 재편하고 미디어 산업 등을 집중 유치해 오늘날 패션과 무역박람회가 열리는 국제적인 상업도시로 변모했다.

하지만 원도심과 라인강 사이, 도시를 단절하는 강변도로 때문에 보행자가 없어 활력을 찾기 어려웠다. 이 같은 상황에 시는 1993년 4차선 규모의 강변도로 2㎞를 지하화하고, 지상에 나무가 울창한 라인강 산책로를 조성하는 대규모 사업을 벌였다.

공사 시작 때 4200억원이라는 큰 예산이 투입돼 시민들의 반발도 많았다. 그러나 원도심과 라인강을 연결한 녹지축이 만들어지자 도시의 인상이 달라지고 상권도 살아났다. ‘도시해변’이라 불리는 이곳은 지금은 뒤셀도르프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휴식 공간이 됐다.

뒤셀도르프 관광청 담당자 예거는 “매일 5만 5000대의 차량이 라인강과 도시를 단절시켰지만 이제는 도시공원에서 일광욕을 즐기고, 축제와 국제적인 행사도 많이 개최된다”며 “도시해변은 우리 도시의 자랑”이라고 자부심을 보였다.

노 시장은 뒤셀도르프의 사례를 보며 “강과 도시를 연결하는 녹지축이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힐링 공간이자 주민들을 이사 오고 싶게 만드는 유인책이 됐고 수변상가 활성화로 원도심 경제까지 살아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두는 현실에 큰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순천시는 지난 1월 아스팔트 도로 1㎞를 잔디광장으로 바꾼 그린아일랜드를 시민에게 선보인 바 있다. 4000억원 이상이 투입된 뒤셀도르프와 달리 2㎞ 도로 자체를 지하화하면서 도로 위에 잔디를 까는 방식을 택해 사업비를 크게 아꼈지만 일부 우려도 있었다. 이후 도심과 국가정원을 잇는 그린아일랜드가 공개되자 시민들은 새로운 ‘해방구’를 얻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 시장은 “뒤셀도르프처럼 정원박람회 이후 오천그린광장과 그린아일랜드 활용 방안을 새롭게 구상하겠다”며 “신청사 건립, 시민광장, 웹툰센터 등이 들어설 원도심 르네상스 사업과 동천 명품 수변공간 조성 사업도 착실히 준비해 도시를 혁신적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
2023-02-24 9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