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가동, 산사태 점검… 장마·태풍 피해 예방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찰특공대 띄우고, 정신응급센터 열고… 이상동기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이천서 전국 첫 벼베기 …임금님표 이천쌀 120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도시철도 2호선 28년 만에 첫삽… ‘수소연료 트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경기 “택배 기사님 쉬고 가세요”… 이동노동자 쉼터 5곳 추가 운영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남양주·안산·파주·화성 등 설치
냉난방기 등 갖춰… 모두 20곳


경기도 광명역 인근 이동노동자쉼터.
경기도 제공

배달이나 대리운전기사, 학습지 교사 등 플랫폼에 소속돼 일하는 노동자들은 이동이 잦은 업무 특성상 휴식시간이 불규칙하고 휴식 장소도 따로 없어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주로 버스정류장이나 피시방, 은행 ATM 부스 등에서 중간중간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경기도가 올해 남양주와 안산, 파주, 화성 등 4개 시의 역 광장, 공원 등에 간이 이동노동자쉼터 5곳을 추가로 설치해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쉼터에는 냉·난방기, 와이파이, 냉온수기, 휴대전화 충전기, TV 등 편의시설을 갖췄다. 무인경비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개인 QR코드로 연중 24시간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다.

이동노동자 쉼터는 ‘거점형 쉼터’와 ‘간이형 쉼터’로 구분되는데, 거점형 쉼터는 사무실 형태로 휴식 공간과 상담·지원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컨테이너 형태로 설치·운영비용이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은 간이형 쉼터는 주말·공휴일에도 24시간 운영해 이동노동자의 만족도가 높다.

지난해 경기도 내 이동노동자쉼터 이용자는 19만 1659명으로, 1년 전(13만 4229명)과 비교해 40% 이상 늘었다.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20곳의 이동노동자쉼터(거점 10·간이 10)를 운영하는 경기도는 2026년까지 7곳인 간이 이동노동자쉼터를 2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간이 이동노동자쉼터가 이동노동자들의 쉴 권리 향상에 조금이나마 도움되기를 바란다”며 “경기도는 열악한 이동노동자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2024-06-04 9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