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딤돌소득’ 2년차… 탈수급률 8.6%로 늘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시-NGO 3곳 ‘5분 정원도시’ 업무협약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관악구, 민선 8기 외부재원 1642억원 유치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노는 물이 다른 강동 키즈 카페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4선 노하우 아낌없이 발휘하겠다”…이혜숙 송파구의회 의장 인터뷰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9대 후반기 의장 맡아…“준비된 의장”
“집행부, 의회와 협의·토론해야”
“자치입법권 확립, 기초의회 위상 정립 필요”



제9대 후반기 서울 송파구의회를 이끌게 된 이혜숙(사진) 의장은 4선 정치인으로 경험과 연륜을 가진 ‘준비된 의장’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 의장을 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4선 의원으로서 쌓아온 저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발휘하는 의정활동을 펼치겠다”며 “의회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만 하는 게 아니라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후반기 송파구의회를 이끌어 갈 기본 방향은.

“4선 송파구 구의원으로서, 지나온 시간만큼 송파구정에 대해 속속들이 알기 때문에 제9대 후반기 송파구의회 의장으로 저만큼 준비된 의장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반대로 그만큼 책임감과 무게감이 남다르다.

앞으로 의장으로서 임기 2년은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다. 4선 의원으로서 쌓아온 저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발휘하는 의정활동을 펼쳐 보이겠다.

의회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방 입법기관으로 가장 핵심기능인 자치입법권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송파구의회는 의회 규모가 전국에서 가장 크다. 다양한 의견을 어떻게 조화롭게 할 수 있나.

“의원들은 각각 상하 관계가 아닌 수평 관계다. 다양한 의견이 충돌할 경우 합의를 도출해 내기가 참 어렵다.

그러나 합의에 이르기까지 많은 논의와 협의 과정을 거치다 보니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좋은 결론을 도출하곤 한다. 결국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협상하고 타협해야 하는 것이다. 여야를 떠나 의원 한명 한명 모두에게 정성을 다하면 26명의 다양한 색깔과 의견을 하나로 이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집행부에 당부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두 기관 사이에 소통과 협치는 구민을 위한 의무이다. 원활한 구정을 위해 의회와 협의하고 함께 토론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한다.

집행기관이 사업 초기 단계부터 의회와 협의해 좋은 사업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예산 확보 과정에서도 의회와 협업하는 것이 집행기관 단독으로 진행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 확신한다.”

-기초의회에도 여성 정치인의 진출이 활발하다. 당부할 말씀이 있나.

“기초의회는 가장 낮은 단계에서부터 민의를 수렴하는 곳이다. 남성의 시각과 여성의 시각이 균형을 이룰 때 좋은 정책적 대안이 나올 수 있다. 지금보다 더 많은 여성이 기초의회에 진출해 정치적 역량을 키우고, 더 나아가 중앙정치 무대까지 진출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소망이 있다.”

-임기 동안 중점을 두고 있는 목표는.

“4선 의정활동을 통해 느꼈던 가장 아쉬웠던 점이 기초의회의 위상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현실이었다. 따라서 임기 동안 이루고 싶은 목표는 ‘기초의회의 위상 정립’이다. 지방자치라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 지 3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지방의회의 위상은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2022년 1월 지방자치법 전면 개정으로 인사권이 독립되고 정책지원 전문인력이 도입되었지만, 아직 완전하게 정착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임기 동안 송파구의회의 역량을 강화해 ‘지방의회 독립성 확보’를 위한 일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안석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