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한자로는 ‘합정(蛤井)’으로 표기한다.‘합(蛤)’은 큰 조개를 의미하는 글자인데 이곳에 있던 우물 바닥에 조개껍질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우물은 사형수의 머리를 베던 망나니들이 만든 것인데, 인근 절두산(切頭山)에서 많은 사람들이 처형당하다 보니 사형도구로 쓰는 칼을 빨리 갈기 위해 판 것이라고 전해진다. 합정동 이름의 유래가 된 이 우물은 강변도로가 생기면서 없어졌다.
합정동에는 선유도로 거쳐 영등포구로 이어지는 양화대교가 닿아 있다. 양화대교는 원래 4차로 양방 통행방식이었지만 지난 1996년 2002년까지 1018억원의 예산을 들여 4차선 규모의 신 양화대교가 만들어져 구 양화대교는 영등포구 방향, 신 양화대교는 합정동 방향 일방통행로가 됐다.
양화대교에서 서쪽으로 1㎞ 정도에는 망원정(望遠亭)이 있다. 망원정은 서울시 기념물 제9호이며 ‘희우정(憙雨亭)’으로도 불린다. 세종 임금이 가뭄이 계속되자 백성들의 삶을 걱정하며 서쪽 들판을 살피고 이곳에 들렀을 때 마침 비가 내려 정자에 ‘희우정’이란 이름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이후 성종 15년(1484년)에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이 정자를 확장하면서 이름을 망원정으로 바꾸었으며 지금까지 그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1925년 을축대홍수와 잇단 한강개발로 자취가 사라졌던 것을 한강변 문화유적 복원계획에 따라 지난 1989년 복원됐다.
합정동에는 국내외입양사업, 종합복지관운영, 아동문예활동 진흥사업, 장학사업 등 한국아동복지 증진에 필요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국내 최대 아동전문 사회복지기관인 홀트아동복지회가 있다(www.holt.or.kr).
국내 최초로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전문 상담기관으로 출발한 (사)한국성폭력상담소도 이곳에 있다. 상담소는 지난 1991년 4월 개소 이래 4만회 이상 상담활동을 펼쳐 왔으며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각종 지원활동을 비롯, 성문화운동, 홍보·출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www.sisters.or.kr).
합정동은 면적이 1.71㎢로 마포구 전체 면적의 7.2%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만 3400여명으로 마포구의 6.2%에 해당한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