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부 직원들 탄력근무로 아침시간 여유
여성부 운영지원과에 근무하는 송승연 사무관은 2008년 4월부터 9시30분에 출근한다. 10살, 11살로 연년생인 두 남매가 초등학교 교문에 들어가는 것을 본 뒤 출근하기 때문이다. 송 사무관은 “탄력근무제를 쓰지 않았다면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기획조정실에 근무하는 전대규 주무관은 맞벌이 아내가 일찍 출근한 뒤 9살과 6살 두 아이의 아침식사와 등교를 돌보기 위해 10시에 출근한다. 전 주무관은 “탄력근무제가 없었다면 등교 도우미를 따로 고용해야 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성부는 자녀를 돌보거나 자기 개발 등을 위해 출근 시간을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 30분 단위로 자유롭게 정해 근무할 수 있는 탄력근무제 시행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탄력근무제를 활용한 직원은 38명으로 탄력근무를 할 수 있는 복수직 4급 이하 공무원 83명 중 45.8%다.
시간대별로 보면 30분 늦은 9시30분 출근이 4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8시30분 출근이 33.3%, 8시 출근이 15.4%, 10시 출근이 10.3% 등이다.
탄력근무제를 사용하는 데 성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남자의 경우 가능 인원 31명 중 14명(45.2%)이, 여자는 52명 중 24명(46.2%)이 각각 사용했다. 여성부 관계자는 “아침 출근 시간대를 탄력적으로 조정해 자녀를 돌볼 수 있게 됨에 따라 일과 가정의 양립에 도움이 되고, 남성도 가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제도 시행 이후부터 지금까지 줄곧 탄력근무를 하고 있는 직원은 7명이다. 월별로는 매달 18명가량이 출퇴근 시간을 탄력적으로 선택했다. 여성부는 탄력근무제의 성공적 정착 사례를 다른 부처에 적극 전파할 계획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