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는 1일 “인사 쇄신책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기준을 적용한 결과, 워싱턴·유엔 등 소위 일하기 좋은 공관만 선호하던 현상이 사라지고 오히려 최험지 공관에 먼저 갔다가 다음 기회에 더 좋은 공관에 가겠다는 직원들이 많아졌다.”며 “예전에는 기피 대상이었던 아프리카·중동 등 최험지 공관에 지원자가 몰려 경쟁이 치열해지는 바람에 최종 선정에 애를 먹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외교부 직원들은 전통적으로 워싱턴·유엔 등 미국 공관을 먼저 지원한 뒤 떨어지면 오스트리아·스위스·벨기에·프랑스 등 유럽이나 일본·중국 등 소위 선호 공관을 순서대로 지원하는 관행을 따라 왔다. 그러다 보니 아프리카·중동 등 험지 공관은 지원자가 없어 밀려서 가기 일쑤였다. 선진국 공관에 가야 계속 좋은 부서에 갈 수 있고, 험지 공관에 가면 벗어나기 힘들다는 강박관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외교부는 이 같은 관행을 깨기 위해 케냐에서 근무하던 직원을 주요 부서에 발탁하고, 워싱턴 지원자가 떨어질 경우 다음 순위 공관에 배치하지 않고 다시 경쟁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다. 그 결과 우수한 외교관들이 아프리카·중동 등 최험지 공관에서 근무한 뒤 다음 기회에 원하는 공관으로 가는 방법을 찾게 된 것이다.
외교관들이 최험지 공관에 몰린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외교부가 최근 험지 공관을 99개에서 55개로 축소하면서,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국가들과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들의 공관을 험지 공관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에 따라 험지 공관에서 제외된 이들 공관에 배치될 경우 기존에 받았던 특수지 근무수당(월 최대 1800달러)을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55개로 줄어든 험지 공관으로 발령날 경우 근무수당을 최대 월 2500달러까지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인 이유도 공관 지원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2-02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