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전북혁신도시추진단에 따르면 혁신도시로 이전할 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의 절반 이상이 가족과 함께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이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정주 여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5%가 가족 동반 이주 계획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가족과 함께 동반 이주하지 않겠다”고 답변한 응답자의 74%가 “기관 이전 후에도 가족이 합류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기관별로는 지방행정연수원 임직원의 87%, 국민연금관리공단 66.4%,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63.9%, 전기안전공사 63.2%가 “나홀로 이주하겠다”고 응답했다.
가족 동반 이전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배우자 직장 문제’와 ‘자녀 학업 지장 우려’라는 답변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전북혁신도시가 이전 기관 임직원의 이주로 신도시를 형성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한다는 당초 취지에서 빗나가 실제 거주 인구가 별로 없는 텅 빈 도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짐작게 한다.
혁신도시에 대한 인지도 역시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51.5%가 전북혁신도시에 대해 “보통이다”라고 답변했고, 20%는 “모르고 있다”거나 “전혀 모르고 있다”고 응답했다.
혁신도시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항목을 묻는 질문에는 ‘저렴하면서도 양질의 주택 공급’이 53.4%로 가장 높았고, ‘우수한 교육환경’ 20.5%, ‘편리한 광역교통시설’ 11%, ‘우수한 의료기관 및 서비스 공급’ 5.7% 순이었다.
고등학교 선호도는 일반고 39.8%, 혁신학교 22.1%, 특수목적고 17.3%, 자율형 사립고 16.6% 등으로 조사됐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