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만에 130m ‘두둥실’… 장난감 도시 같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청년 창업가 몰리는 관악S밸리… 미래가 가장 빨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전국 초1 ‘늘봄학교’… 우울·불안 겪는 국민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어촌 정착 첫걸음, ‘전남 귀어학교’ 인기몰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秋史도 반했던 금석문… 신라시대 창림사 석탑 발원기 발견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신라 제46대 문성왕 17년(855) 지금의 경주 남산 창림사에 삼층석탑을 건립하면서 조성 내력을 적어 봉안한 발원기가 발견됐다.

경기 화성시 용주사 효행박물관이 보관 중인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를 근접 촬영한 사진. 신라 문성왕 17년(855)에 제작된 발원문으로 세로 22.4㎝×가로 38.2㎝에 두께 0.08㎝의 순동에 금을 입혔다. 글자는 그 윤곽을 따라 그리는 쌍구법(雙鉤法)으로 만들었다.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문소영



이 발원기는 1824년 석공(石工)이 창림사 삼층석탑을 무너뜨릴 때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함께 발견된 것으로, 당시 금석학의 대가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가 글자를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이후 추사의 발원기 모사본은 조선총독부가 경주 남산 일대 불적(佛蹟·불교유적)을 조사하고 성과를 묶어 정리한 보고서 ‘경주 남산의 불적’(1940년)에 수록됐지만, 발원기의 실물 행방은 묘연했다.



대한불교 조계종 산하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미등 스님)는 ‘한국의 사찰문화재 일제조사 사업’ 중에 용주사 효행박물관에서 문제의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를 발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발원기는 문성왕(재위 839~857)이 대중(大中) 3년(855)에 탑을 세우면서 납입한 금동판 형태의 발원문으로 밝혀졌다. ‘경응’(慶膺)은 문성왕의 생전 이름이며 무구정(無垢淨)은 통일신라시대에 탑을 세우는 근거가 된 불교 경전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의미한다.

이 발원기는 세로 22.4×가로 38.2㎝, 두께 0.08㎝의 순동에 금을 입힌 판형이다. 앞뒷면에 탑을 건립하게 된 배경과 발원 내용, 조탑(造塔)에 관여한 인물들을 기록했다.

이 발원기는 경기 화성시 용주사(龍珠寺) 말사인 이천시의 영원사(靈源寺)에서 1968년 대웅전을 해체하다가 기단에서 발견된 것으로 밝혀졌다. 발견 이후 줄곧 영원사에 비장(秘藏)되다가 지난해 용주사 효행박물관에 기탁됐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2-29 1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