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는 지난 21일 시의회 만장일치 의결로 통합의사를 확인했다. 이로써 청주시와 청원군은 시청사 위치 선정과 통합시 설치법 제정 등 후속 절차를 밟아 2014년 7월 1일 통합시를 출범하게 됐다.
이들 지자체의 통합은 최근 통합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다른 15개 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68년만의 ‘3전4기’ 재결합
청주와 청원은 원래 한 뿌리였다. 예전에 서원경, 청주목, 청주군, 청주읍 등으로 불리다가 1946년 6월 미군정 법령에 따라 청주부와 청원군으로 갈렸다.
청원이 청주를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구도는 두고두고 문제가 됐다. 각각 독립적인 지자체이면서도 경제, 교통, 교육 등 거의 모든 면에서 공동생활을 해 왔다. 실제로 청원군청은 청주시내 한복판에 있고, 군청 공무원 대다수는 청주에 살고 있다.
두 지자체의 사업 중복은 불가피했고, 충북의 수부도시인 청주시는 청원에 막혀 성장의 한계를 노출했다.
통합 논의는 이런 토대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지역동질성 회복, 주민 삶의 질 향상, 도ㆍ농 균형개발 등의 명분을 앞세워 1994년, 2005년, 2010년 3차례나 통합이 추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독자적인 시 승격을 바라고 있던 청원군 주민들의 반대기류가 번번이 발목을 잡았다.
하지만 이번이 자율 통합을 이룰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동일생활권인 양 지역의 통합이 성사됐다. ‘4수’ 끝에 68년 만의 재결합을 이룬 것이다.
◇”민간주도로 일궈내 더 큰 의미”
이번 통합은 특히 주민들이 직접 일궈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청원군이 ‘군의회 의결’이라는 쉬운 길을 버리고 주민투표로 ‘정면승부’를 건 것도 그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가능했다.
주민들 사이에 찬반이 대립하는 사안인 만큼 주민들의 의사를 직접 확인해야 뒷날의 ‘잡음’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한 가지 걱정스러운 대목은 투표율을 개표 기준인 33.3%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자칫 투표율이 기준에 미달하면 투표함도 열어보지 못하고 통합이 다시 무산될 판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우였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투표율 기준을 무난히 넘겼다. 주민들이 자율통합의 주인공 역할을 한 것이다.
2004년 주민투표법이 제정된 이후 주민투표로 행정구조(구역)를 개편한 것은 2005년 제주특별자치도에 이어 두 번째다.
민간 통합추진 기구가 구성돼 통합 논의를 주도한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청원ㆍ청주통합시민협의회와 군민협의회는 양 지역을 대표해 지난 2월부터 본격적으로 상생발전방안을 협의, 자치단체의 이행 보증 속에 최근 39개 항목 75개 세부사업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다. 상생발전방안은 주로 청원지역에 대한 지원과 배려를 담고 있다.
남기헌 충청대 교수는 “양 지역 주민이 1994년 이후 18년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얻은 결과물”이라며 “민간주도의 청주ㆍ청원통합은 앞으로 우리나라 시ㆍ군 통합 운동에 많은 시사점을 남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인구 100만의 중부권 핵심도시로”
청주시와 청원군은 2014년 7월 출범할 통합시를 인구 100만명 규모의 중부권 핵심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현재 두 지역의 인구는 83만명(청주 67만명, 청원 16만명) 정도다. 그러나 오송 KTX 역세권 개발,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 등을 통한 발전 추세와 세종시 배후도시로서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할 때 100만명 돌파는 시간문제라는 것이 이들 시ㆍ군의 관측이다.
시ㆍ군은 이와 함께 충청광역경제권의 거점, ITㆍBT산업의 글로벌 거점클러스터, 충북 성장 거점, 국가균형발전 견인축 등을 통합시의 미래 비전으로 정했다.
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머지않아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결과 청주시가 청원군과 통합하면 경제력(10위→4위), 경제성장기반(7위→1위), 실물경제(10위→3위), 재정(10위→6위) 등 모든 부문에서 순위가 급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교수는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며 “농촌을 친환경 생태도시로 키워 도농이 ‘윈윈’하는 발전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