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조상묘를 콘크리트로 만든 안타까운 사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군 “법률 어겨 원상복구 등 개선명령”

24일 전남 고흥군의 한 마을에 있는 가족묘가 콘크리트로 덮여 있다.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고 벌초 등 관리가 어려워 콘크리트 작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흥 연합뉴스

“너무 섬뜩했어요. 깜짝 놀라기도 했고요. 잘못 봤나 하고 가까이 갔는데 정말 콘크리트 묘였어요.”

지난 주말 농장에 가다 인근 묘들이 시멘트로 만들어진 걸 보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정모씨는 “아무리 묘 관리가 귀찮다고 해도 이렇게까지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며 “차라리 묘 주변을 펜스로 만들었다면 비용도 적게 들고 훨씬 보기가 좋았을 것”이라며 혀를 찼다.

전남 고흥군의 한 마을에 묘 전체를 회색 시멘트로 덮은 ‘콘크리트 묘’가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묘 주변과 입구는 물론 묘지 안의 봉분 9기까지 모두 회색 콘크리트로 완전히 덮여 있다. 얼마 전까지 잔디가 심어져 있었지만 지난 13일 문중 종손이 1700여만원을 들여 이 같은 공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의 모 사찰 주지인 종손 남모(70)씨는 “가족묘에 멧돼지들이 자주 출몰해 묘를 관리하는 후손들이 골머리를 앓아 왔고 주거지와 거리가 멀어 벌초 등에 어려움이 있어 시멘트를 깔게 됐다”고 말했다.

9기의 봉분 중 고조, 증조, 할아버지 등 3~5대의 묘는 콘크리트로 덮였지만 숙모, 숙부, 당숙 등의 봉분은 자손들이 살고 있어 잔디 상태로 보존하고 있다.

박문암 이장은 “어제도 밭에 멧돼지가 왔다 간 흔적이 있을 정도로 자주 피해를 보고 있다”며 “20여명이 살고 있지만 남씨 종친이 대부분이어서 콘크리트 묘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이장은 “요즘은 자기 부모가 아니면 친척들이라 해도 벌초 등 묘 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있고, 다른 사람 일이다 보니 마을에서도 조용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고흥군 일부 지역에는 봉분만 잔디로 하고 주변을 시멘트로 도배한 묘나 인공 잔디로 식재한 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특이한 묘들이 등장하는 것은 묘를 관리해야 할 자손들이 고령화로 힘에 부치거나 도시로 빠져나가면서 묘지 관리가 갈수록 힘들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고흥군 관계자는 “‘장사 등에 관한 법’에는 봉분은 특별한 규정이 없지만 봉분 이외 지역은 잔디나 화초, 수목으로 만들게 돼 있는데도 시멘트를 조성한 것은 법률에 위반된 만큼 원상 복구 등의 개선 명령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고흥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