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공공기관장 및 임원 선임과 관련, 관료출신 낙하산 인사에 일단 제동을 걸고 전문성 및 경력 중시를 강조한 가운데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 상임이사 공모에 지방경찰청장 출신들이 대거 응모한 것으로 알려져 이전처럼 경찰 간부들이 임원 자리를 독식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로교통공단은 현 체제를 갖춘 1980년 이후 별도 기구격인 방송본부(TBN 한국교통방송)를 제외하곤 역대 이사장과 상임 이사 자리 전원을 경찰 출신들이 차지해 왔다.
23일 도로교통공단과 경찰청 등에 따르면 이번 임원 공모에도 지방경찰청장을 지낸 인사들이 다수 서류 전형과 면접을 거쳐 최종 3배수 안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공모에 신청해 최종 3배수 안에 들어간 경찰 간부들은 전 인천경찰청장, 전 전남경찰청장 등을 지낸 4~5명 정도로 알려졌다. 3배수안에 든 후보자 가운데서 임원 선임은 이사장이 결정할 수 있게 돼 있다. 서울지방경찰청장을 지낸 주상용씨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
공단 측은 서류전형에 통과해 3배 수 안에 든 임원 선임 후보자들에 대해서도 공개하지 않아 “민간 전문가들은 들러리에 불과하고 공모 절차는 형식”이란 소문마저 돌았다.
새 정부들어 전문가 중시 인사 정책이 발표되자 전에 없이 공단 안팎의 전문가들이 지원해 30여년만에 첫 민간출신 임원 발탁 가능성이 기대돼 왔었다.
공단 노동조합은 최근 긴급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성명서까지 발표했다. 이종상 노조위원장은 “업무와 공단을 이해하고 전문성을 가진 민간 전문가가 필요하다”면서 “공단 발전을 위해 사측과의 단체협상안에 내부 직원의 임원 발탁 관련 조항을 관철하겠다”고 밝혔다.
송인규 경영지원실 인사교육처장은 “서류전형과 면접을 거친 후보자의 검증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검증 절차가 끝나는 대로 선임이 이뤄질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도로교통안전공단은 교통 안전을 위한 종합서비스 기관으로 직원 2600여명에 8개 방송국, 26개 면허시험장, 13개 지역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세종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3-06-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