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15만개 창출 창조경제 성공 여부 빅데이터 활용에 달려
공공 데이터는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빅데이터이자, 무한 활용이 가능한 보물창고다. 이런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는 ‘정부3.0’의 효과가 특히 경제에서 두드러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일자리 15만개 창출, 경제 효과 24조원’이라는 장밋빛 전망의 성패는 정부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활용에 우호적인 환경을 열어주느냐에 달려 있다.실제로 정부는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안전행정부 등이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종합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1인 기업,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자, 중소기업 등의 의견을 듣고 공공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우수 비즈니스 모델에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을 기조로 삼고 있다. 이에 따른 기업의 긍정적 변화상도 내다볼 수 있다.
예컨대 A유통업체는 날씨 마케팅을 본격화했다. 여름철 수박, 아이스크림, 에어컨의 매출이 정점을 찍는 기온은 각각 다르다. 업체는 수박은 29도, 아이스크림과 에어컨은 30도라는 분석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재고 비용은 10% 이상 줄이고 매출 증대 효과는 15% 이상을 거뒀다.
안행부 관계자는 “공공 데이터 개방·제공 및 활용을 제약하는 각종 법률과 장애 요소를 정비하는 작업도 곧 시작할 것이다. 무엇보다 민간에서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관별로 제각각 만들어져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3-07-0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