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발생하면 국립공원사무소나 119로 전화하고, 공원 직원이나 119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해 자동심장제세동기로 응급처치를 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반복하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심장질환으로 심장이 정지했을 때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하면 생존율도 높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심폐소생술 실시율이 6.5%로, 스웨덴 55%, 미국 31%, 일본 27% 등에 비해 낮은 편이다.
국립공원에 따르면 심장질환 사망사고가 공원 내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2011년 7명, 2012년 9명, 올해 10명 등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공원공단은 지리산, 설악산 등에 있는 모든 대피소와 국립공원 탐방지원센터 총 73곳(홈페이지 참고)에 자동심장제세동기를 비치했다.
공원공단 관계자는 “특히 추운 겨울철에 국립공원을 탐방할 때 대처 방안을 알아 두면 심장 돌연사와 같은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다”면서 “심폐소생술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숙지해 두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2013-12-25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