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피버 BVA 홍보 담당
“2005년 연금 제도들 간의 조화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는 개혁을 단행할 때 국민의 절반은 찬성하고, 절반은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모두 찬성에 공감했을 때 개혁을 실시했습니다.”
|
피터 피버 BVA 홍보 담당 |
오스트리아는 1997년부터 모두 네 차례에 걸쳐 공무원연금을 개편했는데, 개혁 이전의 연금 구조는 우리나라와 유사했다. 1997년 이전 오스트리아 공무원연금은 최대 연금 가입기간인 35년을 모두 채우면, 소득대체율이 80%로 퇴직 전 평균 보수의 5분의 4를 연금으로 받았다. 우리나라도 2010년 공무원 연금개혁 이전에는 소득대체율 76% 수준으로 연금이 지급됐다.
오스트리아는 2005년 ‘공적연금제도 조화(Harmonized)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이 점차 균형을 맞춰나가는 과정에 있다. 2044년이 되면 두 연금의 구조와 수준이 같아질 전망이다. 현재 국민연금의 월평균 수령액은 여성 897유로(약 130만원), 남성 1478유로(약 214만원) 수준이다. 반면 공무원연금의 수령액은 2000~2400유로(약 290만~347만원)로 국민연금보다 훨씬 많다.
그는 “오스트리아는 세대 간 연금 갈등이 심했다. 전 세계에서 연금을 서둘러 받으려고 가장 애쓰는 나라가 오스트리아였다”라고 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연금 수급자(pensioner)가 되면 축하 파티를 열 정도였다. 따라서 조기연금 신청자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인 65세까지 더 일하도록 하는 게 국가의 정책 목표다.
2005년 개혁으로 생긴 연금수급자 재정안정화 기여금에 대해서도 피버는 정치적 영향으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기여금은 상대적으로 관대한 연금을 적용받는 연금 개혁 이전의 연금수급자들이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등 미래 연금 지출 증가에 대비해 적립하는 돈이다. 매월 연금에서 자동으로 갹출돼 적립된다. 퇴직 시점에 따라 기여금을 떼는 비율은 1~3.04%로 차등 적용된다. 2004년 퇴직했다면 최고 비율인 연금의 3.04%를 기여금으로 내야 한다. 연금 혜택이 클수록 기여금도 많이 내는 구조다.
피버는 “알리안츠와 같은 민영 보험회사들이 공무원 사회보험공단에 6000~6만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다며 압력을 넣어 기여금 제도를 만들게 됐다”며 “오스트리아 재무부도 투자 개념으로 시도해보자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국은 안전행정부에서 공무원연금을 운영하는 것과 달리 오스트리아는 재무부에서 맡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철도, 우편 등 많은 공공부문에 걸쳐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다. 공무원도 계약직으로 주로 뽑는다. 피버는 “오스트리아 공무원들은 1950년대부터 노조를 결성해 자신의 목소리를 냈다”며 “각 직업군별로 연금 모형을 조정하는 게 맞지만 현실적으로는 힘들다. 모든 국민이 자신만의 연금계좌를 갖고, 노후의 예외 상황을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빈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4-01-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