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가스 등 실태 조사
서울시는 19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국내 최고층(123층·555m)으로 짓고 있는 송파구 제2롯데월드의 초고층 타워동 안전 관리 실태를 직접 점검한다고 발표했다. 이제까지는 시공사와 책임감리단이 관리했다.
시는 초고층 건축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관련 학회 및 단체 등과 협의해 컨소시엄 형식으로 공동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공사가 끝날 때까지 정기·비정기 점검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주 내로 용역 시행 주체와 점검 기술자를 결정하면 그 즉시 현장 확인과 점검에 나선다. 비용은 롯데 측이 부담한다.
가설물, 안전시설, 소방, 방화, 전기, 가스 등 초고층 공사 관련 업무 전반이 점검 대상이다. 시는 전문가 자문 결과 정기 점검 시스템은 물론 타워크레인, 호이스트(가설엘리베이터), 콘크리트 펌프와 분배기, 자동상승발판거푸집 등 자재 및 장비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강한 바람의 영향 등을 고려한 안전 관리와 더욱 체계적인 방화 시스템도 있어야 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특히 시는 현행법상 초고층 안전 점검 기준이 미흡하기 때문에 이번 점검 결과를 백서로 만들어 기준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 건축 중인 30층 이상 건축물 13곳에 대해서도 일제 점검을 실시한다.
시는 초고층 안전 점검과 저층부의 임시 사용 승인은 별개 문제이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이건기 주택정책실장은 “승인 신청이 들어오면 교통, 안전 문제 등을 정밀 검토해 미비점이 없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2-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