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급 외 환자에 식사차리기 등 동작훈련 지원…가족부담 줄 듯
라틴어(demens)에서 유래한 치매(Dementia)는 ‘정신이 없어진 것’이라는 뜻을 지녔다. 정상적으로 생활하다 뇌기능 손상으로 인지 기능이 떨어지거나 삶의 기억을 잊게 된다. 치매는 본인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고통을 안긴다. 연초 아이돌 가수의 아버지가 치매를 앓던 노부모와 함께 세상을 등지면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게 가족의 부양 부담 등이다.구는 이를 위해 보건·복지 관련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지원자를 모집하고 강동구치매지원센터에서 집중 교육한다. 이들은 환자 가정을 주 2회 직접 방문해 동작훈련을 가르치게 된다. 구는 자원봉사자와 치매 가정을 연중 모집할 예정이다. 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치매 관리에 계속 힘쓸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기억력과 집중력에는 도움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 독립성을 키우기엔 한계를 지녔다”며 “이번 프로그램이 환자와 가족들의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는 치매관리사업 체계 구축과 지역자원 강화 사업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덕분에 지난해 서울시 인센티브 평가에서 치매관리사업 최우수구로 뽑혔다. 구는 2007년 문을 연 치매관리센터에서 60세 이상 구민들에게 무료 검진을 제공한다. 치매 약제비, 치매와 고위험 등록관리 프로그램, 인지건강센터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03-04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