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큰 부담… 실패로 이직·해고 등 꼽아
9일 경기개발연구원 강상준 연구위원이 낸 ‘행복과 성장의 전제조건, 패자부활’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성인 900명(30·40·50대 각 300명, 남녀 각 4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46.0%인 414명이 ‘우리 사회는 한 번 실패하면 낙오자로 인식된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52.3%, 30대 44.0%, 50대 41.7%로 40대가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53.6%)이 여성(38.4%)에 비해 높았다.
‘인생에서 가장 큰 실패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이직(16.6%), 해고·실직(14.0%), 결혼(가정불화)·이혼(13.9%), 대입(13.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30대가 취업(19.0%)을, 40대가 이직(18.0%)을, 50대가 파산(18.0%)을 실패의 1순위로 꼽아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재기의 큰 제약요소’로는 경제적 이유(26.6%)를 가장 많이 들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20.6%), 학업 능력과 전문성(16.9%), 제한된 도전의 기회(14.6%), 나이 제한(14.4%) 등의 순이었다.
강 연구위원은 “패자부활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재기 지원 로드맵을 수립하고 ‘실패자는 낙오자’라는 공식을 깨기 위해 성공이 아닌 실패에서 배우는 ‘실패학 포럼’ 개최나 ‘실패상’ 수여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