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중 1명 “전망이 없어서” 전공 도움 안돼 비정규직 전전
정부가 15일 발표한 ‘청년 일자리 단계별 실태조사 결과’에 나온 특성화고 졸업자들의 현주소다. 조사 결과 특성화고 졸업자는 졸업 이후 5년 반 동안 평균 3.9번이나 직장을 옮겼다. 이직한 이유는 ‘전망이 없어서’가 24.7%로 가장 많았다. 이직을 해도 더 좋은 직장으로 옮기지 못했다. 특성화고 졸업자 중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10.6%에 불과한 반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옮긴 경우는 69.5%에 달했다.
제대로 된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교에서 배운 기술과 지식이 현장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성화고 졸업생 중 32.2%만 전공 지식이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학교 밖에서 기술을 배우고 싶어도 현장실습을 할 기업이나 훈련기관이 없는 점도 문제다. 특성화고 졸업생이 학교 외의 기관에서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는 14.2%에 불과했다. 그나마 있는 직업훈련 기관도 영세한 시설이 대부분이다. 전국 총 7766개 직업훈련 기관 중 사설학원이 33.2%로 가장 많고 고용노동부 지정기관은 10.4%밖에 되지 않는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4-1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