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안전 서비스 8월부터 시행
중증 장애인 응급안전 서비스는 몸이 불편해 누군가 반드시 옆에서 지켜봐야 하는 상황으로 치달은 장애인의 응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첫 단추는 적합한 장비와 시스템을 설치해 주는 것이다. 장애 상황을 보고 최신 정보기술(IT)을 응용해 각 가구의 사정에 맞는 화재 감지 센서, 활동 감지 센서, 게이트웨이 긴급전화기, 가스차단기, 응급호출기 등을 갖출 수 있도록 해 준다. 또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가까운 소방서나 장애인복지관, 자활센터는 물론 인근 주민까지 나서서 대응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한마디로 365일 24시간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체계에서 응급구조 지원 체계까지 다 갖추겠다는 것이다.
장애인 활동 지원을 받는 사람 가운데 혼자 살고 있는 사람, 여러 조건상 상황이 취약한 사람, 가족이 있다 해도 학교나 직장 문제로 보호에 허점이 생길 수밖에 없는 사람 등을 우선 선정한다. 구는 이를 위해 현재 활동보조 서비스를 받는 중증 장애인 225명 가운데 114명을 일단 예비 서비스 대상자로 분류해 뒀다. 물론 이 규모는 전수조사 결과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구 관계자는 “꼼꼼한 대상자 선정 작업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사람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조사 결과에 따라 늦어도 8월부터는 응급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