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근무환경에 서비스 질↓… 퇴직공무원 본부장 발령도 논란
부산지역 장애인들의 발 역할을 하는 ‘두리발’ 콜택시가 부실 운영에다 낙하산 인사로 ‘관피아’ 논란에 휩싸였다.두리발은 부산시가 중증장애인들의 이동권 보호를 위해 2006년 도입한 제도다. 부산시 택시운송사업조합이 위탁운영하고 콜센터는 택시조합이 민간업체에 재위탁한 이중 구조다. 콜센터 상담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 등으로 이직률이 높다. 기사와 상담원들은 인권교육을 받지 못해 서비스의 질도 낮다.
정명화 공공운수노조 부산지부장은 “두리발 사업을 시에서 직영해야 한다. 그런데 시는 장애인들의 민원이 발생하면 책임을 회피하는 데 급급하다”며 “장애인 대상 인권교육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콜센터 직원들은 지난해 노조를 결성하면서 투명한 예산집행과 직원 처우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이에 시는 올해 1월 콜센터를 택시조합이 직영하도록 했다. 또 콜센터본부를 신설하고 시 공무원 출신 퇴직자를 본부장으로 보냈다. 이 과정에서 신임 본부장은 콜센터 직원 11명 가운데 노조원 출신 경력직원 4명을 해고했다.
최모 두리발 본부장은 “시가 민간업체에 운영권을 위탁한 것을 회수한 것”이라며 “경력자 우선 채용 조항이 있지만 기존 직원을 다시 뽑아야 할 의무는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퇴직 공무원을 본부장으로 발령한 것은 두리발 업무를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서류미비 등 면접에서 문제가 있었던 직원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채용해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2014-08-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