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겸수 구청장 ‘구민 만족 강북구’ 만든 비법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함이 없는 빌라에서 무단투기가 심각합니다.”박 구청장의 열린 구청장실은 평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구청장실에서 민원인을 만나는 것이다. 다만, 이날처럼 구청장실에 수용하기에 인원이 너무 많거나 꼭 현장을 봐야 할 때는 장소를 옮긴다.
열린 구청장실은 2010년 7월부터 시작해 4년여 만에 1004회를 열었다. 그간 3830여명을 만났고, 시간으로 따지면 2100시간을 민원인과 함께했다. 처음 시작할 때는 민원인들이 몰리면서 15~20일은 대기해야 구청장을 만날 수 있었지만 지금은 3일이면 대면이 가능하다. 그만큼 많은 민원이 이 자리를 통해 해결됐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박 구청장은 “1000회 동안 열린 구청장실을 운영하면서 ‘현장에 답이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한 학부모가 수유초등학교 근처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를 거론하면서 신축빌라에 재활용쓰레기통이 필요하다는 건의를 했고, 한 통장은 신축 빌라의 경우 우편함이 없어 한 달이 지나도 행정통지를 할 수 없다고 했다. 박 구청장은 신축빌라는 준공을 위해 우편함, 재활용쓰레기통, 태극기꽂이를 마련토록 했다.
최소 10번 이상 만나는 민원인도 있다. 재개발, 재건축의 경우 양쪽을 지속적으로 만나 구청이 한쪽으로 경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시켜야 한다. 악성민원으로 고생할 때도 있다. 박 구청장은 “지하철 4호선 공사를 하던 10년 전 구두로 약속받았다고 실정법상 불가능한 공사를 해달라면서 구청장실에서 눕고는 가지 않는 분도 있었다”면서 “그래서 경찰이 정중하게 권고해 돌려보냈다”고 회상했다.
박 구청장은 “매일 새벽 5시 30분부터 북한산 둘레길을 걸으며 주민들을 만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는데 그때 만나는 분들이 진짜 현장이라고 믿는다”면서 “그간 하던 대로 임기 끝까지 매일 열린 구청장실을 열고 더 많은 이들과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12-09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